천리안2B 위성 데이터로 미세먼지 물질특성 밝힌다

과기정통부·환경부·복지부 성과 발표
위성 데이터 수집 신규 R&D사업 추진
먼지·에어로졸 형태…크기·모양 다양
산단·농촌지역 특성 맞는 제거법 연구

올해 초 우리 기술로 만들어 쏘아올린 최초 정지위성 '천리안2B호'가 수집한 데이터로 동북아 미세먼지 물질 특성을 밝힌다.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미세먼지 대책이 마련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환경부·보건복지부는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 성과발표회를 11일 온라인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한다.

사업은 미세먼지가 사회 이슈로 부각되자 과학기술 기반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세 부처가 단일 사업단을 구성했다. 2017년 9월에 연구를 시작해 오는 9월에 종료된다. 올해까지 492억원이 투입됐다.

정부는 올해 사업을 마치면 단기 성과를 낼 수 있는 기술개발 위주에서 벗어나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다부처 공동 기술개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오는 2022년을 목표로 사업을 기획중이다.

눈에 띄는 사업은 천리안2B 위성을 통해 받은 데이터를 미세먼지 연구를 위해 분석하고 활용하는 작업이다. 위성에서 보내온 데이터는 수집데이터를 위치에 관계없이 보내오기에 보정작업이 필요하다. 범부처 프로젝트는 이를 보정할 알고리즘 개발과 미세먼지의 과학적 물질 규명에 주력한다.

천리안2B 위성 데이터로 미세먼지 물질특성 밝힌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미세먼지 중에는 바람이 불면 날아가는 먼지 외에도 진득한 액체덩이인 에어로졸 형태가 있는 것은 물론 크기나 모양도 다양하다”며 “이들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문제 해결 첫 단추”라고 설명했다.

지역별 미세먼지 특성도 밝혀낸다. 일반적으로 산단지역에는 질소산화물(NOX) 형태 먼지가, 농촌지역에는 암모니아형태 먼지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규명하고 물질 특성에 맞는 제거 방법을 연구하는 식이다. 내년 예산으로 100억원이 책정됐다.

환경부는 차량·농어촌 등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도로 등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관리를 위해 미세먼지 저감·측정·분석기술 개발해 이를 활용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국민 건강 문제에 집중한다. 건강 취약계층과 기저질환자 대상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만들어낼 계획이다.

사업단은 성과발표회에서 △발생·유입 △측정·예보 △집진·저감 △국민생활 보호·대응 등 4개 부문 연구개발 성과도 공유한다. 80여개 기업·기관과 연구자 573명이 40차례 토론을 거쳐 SCI급 논문 136건, 특허 출원 19건 등을 내놓았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관측 자료를 활용해 미세먼지 원인물질 배출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 중국발 미세먼지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이는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등 정책 수립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했다. 미세먼지 예보에 필요한 미세먼지 생성량 관계식과, 배출량 등을 국내 대기 환경과 배출원에 맞게 개선시켰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앞으로도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R&D를 계속 지원하고, R&D 성과가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국민들께 쉽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부처별 신규 미세먼지 R&D 사업 >

천리안2B 위성 데이터로 미세먼지 물질특성 밝힌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