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평양회담 2년...대북관계, 미국과 중국의 선택이 관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운전자론' '촉진자론'이 힘을 받지 못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 행보가 주목된다.

미국은 대통련 선거 이후 새롭게 구성될 행정부의 대북정책 변화가,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에 따라 남북 간 관계 개선의 여지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오는 11월 3일 59번째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 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공화당)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대결이다. 미국의 대북 정책이 제자리걸음인 가운데 새로운 행정부가 구성되면 이른 시일 내에 새 정책이 세워질 것으로 보인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북한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북한 관련 정책부터 손을 봤었다.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대북정책에 있어서는 핵문제 해결이 우선인 점은 같다. 다만 구체적인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한국 역시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려면 미국 대선 이후를 바라봐야 한다.

중국은 시진핑 주석이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북한의 혈맹이자 한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박근혜 정부때와는 달리 우호적인 기류다. 시진핑 주석의 방한과 이에 따른 메시지가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카드다.

관건은 시진핑 주석의 방한시기다. 중국은 시진핑 주석이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라는 단서를 달았다. 올해 안에 방한할지 미지수다. 특히 올 연말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의 방한(또는 비대면 참석)이 예정된 상태라 중국의 1·2인자가 한 해 한국을 모두 방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원하는 것은 대북제재 해제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롯한 현 체재의 보장”이라면서 “지금 북한이 원하는 것을 한국 정부가 해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선 그에 걸맞는 대책이 필요하다. 미국 대선과 시진핑 주석의 방한도 중요하겠지만 정부 입장에선 일관성 있는 협력 의지를 보여주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