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부장 통계' 고도화 추진…해외 주요국 연계표 만든다

정부가 급변하는 글로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신분류 통계' 구축에 나선다. 올해 소부장 정책에 편입된 '장비'를 통계 범위에 추가하는 한편 국내외 소부장 동향을 한층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주요 국가 연계표 작성도 추진한다.

정부, '소부장 통계' 고도화 추진…해외 주요국 연계표 만든다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소부장 통계 품목 연계 고도화'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4월 소부장 특별법을 상시법으로 전환하면서 정책 범위를 기존의 소재·부품에서 장비로까지 넓힌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그동안 국내 소재·부품 통계를 취합해 온 기계산업진흥회가 사업을 주도한다. 신뢰성 높은 통계를 기반으로 분석지표를 산출, 정책 지원이 필요한 업종별 소부장 품목을 선정하는 근거로 활용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에서 국내 소부장 산업 현황과 수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관세청 무역상품분류(HS)와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를 연계한다. 현재 소부장 수출입 통계는 10단위 HS, 생산은 8단위 KSIC로 각각 작성되고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연결해 무역 통계 정확성을 높이는 한편 산업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거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경쟁국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통계 구축에도 나선다. 주요 국가 관세청의 HS 최하 단위와 우리나라 HS 10단위를 연계하는 게 핵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부장 무역 통계는 한국과 타국 간 거래 내역만 파악할 수 있다. 우리 관세청 분류코드와 각국 관리 방식이 서로 달라 품목별 실적 파악이 어렵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중국 간 수출입 소부장 품목과 규모를 알 수 있지만 중국과 일본 간 거래 내역 확인은 불가능하다.

현재 유엔 무역통계 사이트는 세계 각국의 품목·국가별 수출입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보다 4단위 적은 HS 6단위를 적용하기 때문에 항목 하나에 얼마나 많은 소부장 관련 품목이 포함됐는지 알기 어렵다.

소부장 신분류 통계는 이 같은 어려움을 감안해 주요 국가 HS 분류코드와 우리나라 HS 분류코드 연계표, 각국의 과거 HS 분류코드 변동 내용 등을 함께 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소부장 산업은 제조업의 허리이자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면서 “신분류 통계가 정부 정책과 기업 경영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