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칼럼]자율협력주행 교통시스템 C-ITS 구축 차질 없이 진행돼야

[자동차칼럼]자율협력주행 교통시스템 C-ITS 구축 차질 없이 진행돼야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와 구글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처음엔 2020년 정도면 4단계 이상의 자율차가 판매될 것을 기대했지만 다양한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센서 기술의 한계와 높은 가격 등으로 2024년께나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많은 기업은 카메라·라이다·레이다 등 센서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 도로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고 판단해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센서들은 인식 범위가 제한되고 야간, 폭설 등 다양한 기상 변화와 전방 차량 등의 방해물이 존재하면 주변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는 데 어려움이 커진다.

센서 한계를 극복하고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 차량·사물통신(V2X)이다. V2X를 통해 자동차는 다른 자동차 또는 인프라 등과 실시간 통신, 각종 교통·도로 상황과 차량·보행자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특히 V2X는 이동통신과 다르게 정보 교환 과정에서 중간 기지국을 거치지 않아 사고 예방을 위한 즉각 정보 공유가 필요한 도로교통 환경에 맞춤화된 기술이다.

자동차업계는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위해 V2X 관련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볼보, 다임러 등 유럽의 6개 트럭 제조사들은 플래투닝 앙상블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V2X를 활용한 트럭 군집주행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또 폭스바겐은 V2X 기능을 탑재한 신차를 출시했으며, 포드는 오는 2021년부터 V2X 기능이 장착된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차도 지난 2017년 화성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V2X 관련 실제 도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가능 여부, 운전 제어권 이양, 사전 회피 등 자율주행기술 고도화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V2X 환경이 도로에 조성되기 위해서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을 자율협력주행교통시스템(C-ITS)으로 전환해야 한다. 현재 ITS에서도 교통정보를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차량DMB를 통해 차량에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정보에 대한 수집 제공 체계가 분리돼 공간 제약이 있고, 센터 정보 가공으로 인한 지연으로 돌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C-ITS가 구축되면 자동차는 신호등, 중계기 등 인프라를 통해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차량이 차로를 변경하거나 급정거할 때, 사각지대에서 나타나는 경우와 같은 돌발 상황을 자동차에 알려줘 안전한 도로 주행이 가능해진다.

C-ITS 기반 협력 주행은 완전 자율주행의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 차량의 교통안전 제고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인프라 기술 등 수출도 가능할 것이다.

정부는 지난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C-ITS를 주요 도로로 확대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교통 분야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뉴딜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전체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 주요 간선도로에 C-ITS를 구축할 계획임을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탄력을 받고 도로 교통 안전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C-ITS 구축이 정부 계획대로 차질 없이 추진돼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돼 자동차 산업 경쟁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안전환경본부장 kyw@kam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