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암호화폐, 투자해도 돼요?"

“암호화폐는 사기 아니에요?” “투자해도 되는 겁니까?”

업계 관계자가 아닌 사람들과 일 얘기를 하다 보면 꼭 받게 되는 질문이다. 답변하기 곤란한 질문 가운데 하나다. 솔직하게 답변한다. “아직까진 잘 모르겠다.” 직접 투자해 보지도 않은 자산에 대해 단정 조로 답변하기가 어렵다.

개인 투자자가 투자시장에 대거 몰리는 '대(大)투자시대'가 왔다. 부동산 시장이 정부 규제로 주춤하는 사이 주식시장이 투자 열풍의 핵으로 떠올랐다. 부동산·주식 투자를 고민하는 사람은 “지금이 투자할 타이밍이냐?”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가?” 하고 묻는다. 암호화폐와 달리 투자의 필요성을 의심하진 않는다.

암호화폐 산업이 안고 있는 한계점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이른바 '기축 통화' 존재에도 암호화폐에 대한 의문과 의심은 여전하다.

여러 악성 이슈에도 암호화폐로 대표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경제 생태계는 전 세계에 걸쳐 확대일로다. 해외 유수의 금융사가 암호화폐 시장에 발을 들였거나 사업 가능성을 검토한다. 최근 미국 행정부는 암호화폐 관련 규제를 연이어 완화했다.

암호화폐를 '투기' '사기' 프레임으로 단정하고 외면하기엔 해외 산업의 흐름이 심상찮다. 암호화폐에 강경하던 우리 정부도 '특정금융거래및지원법'(특금법) 개정 등을 통해 산업의 숨통을 조금씩 틔워 주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미래 디지털 자산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소외될 수 있다.

산업을 키우기 위해선 사회 신뢰를 다시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다. 이를 위해 강력한 규제와 산업을 뒷받침할 제도 마련을 병행해야 한다는 역설이 성립한다. 바닥으로 떨어진 암호화폐에 대한 사회 인식을 고치기 위한 고육책이다. 내년 3월 시행되는 새 특금법만으론 허점투성이라는 목소리가 크다.


호의성 여론이 형성돼야 암호화폐 산업 육성의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이를 위해 정부와 업계가 참여해 상장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현행보다 강한 기준으로 불량 종목을 걸러내 투자자를 보호하는 게 우선이다. 국내의 경우 상장 기준이 거래소마다 다르다. 반면에 일본은 금융청 감독 아래 10여개 소수 화폐만을 거래하도록 허가했다. 인식을 바꾸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 특금법 시행이 끝이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인 이유다.

[기자수첩]"암호화폐, 투자해도 돼요?"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