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하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韓 수가체계 논의·고령층 배려 준비해야"

급성장하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韓 수가체계 논의·고령층 배려 준비해야"

디지털 치료제 개발·투자가 미국과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도 사전에 수가체계 논의를 비롯해 디지털 이해가 낮은 고령층을 배려하는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김윤진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현황' 보고서를 통해 “향후 디지털 치료제 활성화를 위해 적정수가 기준, 고령 환자 접근성 제고에 대한 논의와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질병이나 장애를 예방, 관리, 치료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알약·캡슐(1세대 치료제), 항체·세포(2세대 치료제)에 이어 최근 3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헬스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단순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것과 달리, 디지털 치료제는 치료 효과가 입증된 디지털 기술로 환자 질병과 장애를 직접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디지털 치료제가 헬스케어 분야 유망기술로 부상하면서 세계 주요국 보건 및 과학기술 당국과 투자자는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활용 촉진을 위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공공의료서비스인 NHS는 디지털 의료서비스 지원 확대를 표명했고, 특히 정신질환 치료 프로그램 IAPT(심리 치료에 대한 접근성 향상)에 디지털 치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미국은 디지털 치료제 개발 관련 투자금액은 7년간 매년 약 40%씩 늘려 2018년 말 기준 10억달러를 웃돌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제12회 과학기술관계 장관회의에서 '코로나 이후 유망기술' 30개 중 하나로 디지털 치료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연구개발(R&D) 선점투자와 선제적 규제 혁신 계획을 강조했다.

디지털 치료제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치료제 세계 시장 규모는 올해 20억달러에서 2025년 7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김 연구원은 우리나라 역시 디지털 치료제 개발·사용 확산에 따른 수가 적용 문제와 고령 환자의 디지털 소외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원은 “디지털 치료제 발전을 위해선 치료제에 대한 보험수가 기준 정립과 디지털 치료제 사용에 따른 보험 보장 체계 안착이 수반돼야 한다”면서 “향후 디지털 치료제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개발사, 의사, 보험사 등 수가체계 관련 이해 당사자 간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 인구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디지털 치료제 개발 단계부터 고령 환자 접근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