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장마가 유난히 길었다. 강수량도 많았다. 역대 최장기간 장마를 경험하면서 우리 국민들 생각과 사고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겨울도 마찬가지다. 몇 해 전부터 겨울이 너무 따뜻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구온난화 영향이 한반도에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7위 국가다.
이상 기후변화는 세계적 관심사다. 미국 차기 대통령 유력 후보인 조 바이든 역시 적극 동참을 표방했다. 일본과 중국도 동참의 뜻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도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탄소중립 선언을 했다. 국제사회와 공조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70여개에 달하는 탄소중립 국가 반열에 합류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제거량이 상쇄돼 순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석탄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게 골자다. 탈석탄 선언이다. 앞으로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에도 큰 영향이 예상된다. 신규 석탄발전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정한 수명(30년)보다 먼저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다.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에 기반한 산업 패러다임을 서서히 전환해야 할 때다. 특히 시멘트 철강 발전 같은 산업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많이 하는 분야다. 이 분야 기업들은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
해외에서는 기후변화에 적극 나서는 기업도 생겨난다. 카 메이커 르노, 제과업체 마스 등은 국제적으로 권장되는 기준 달성에 적극적이다. 이른바 '지구 온도 상승을 2도로 제한하는 캠페인'에 동참하고 있다.
문제는 이상과 현실이다. 공장을 가동하는 산업계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산업계 현실을 외면한 거창한 구호는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산업계는 온실가스 감축 속도가 빨라지면 부담이 커진다. 한국경영자총연합회가 119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추진할 경우 10곳 중 7곳 이상이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 증가를 우려했다.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