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산업진흥회가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고사할 위기에 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올 하반기 주요 설계·조달·시공(EPC)사 신규 수주가 없고 내년 사업 전망도 부정적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일몰이 예정된 인센티브제를 개별 기간제로 개편하는 등 정부가 나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기산업진흥회는 3일 'ESS 생태계 육성 통합 협의회' 회원을 중심으로 한 주요 설계·조달·시공(EPC)사 수주현황 설문조사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협의회는 ESS 제조·시공·운영사·유관기관 등 82개 회원으로 구성됐다. 협의회에 따르면 약 60% 이상 기업이 사업을 포기하거나 사업 물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사업장은 2018년 973개소에서 지난해 476개소, 올해 405개로 절반 이상 줄었다. 신규설비 용량도 2018년 3.7GWh에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1.8GWh로 축소됐다. ESS 하반기 수주물량도 올해 초 예상치보다 90% 이상 감소했다.
진흥회는 ESS 화재 사고 이후 사업자 수익성 악화와 신규 시장 지속 축소로 이어지는 생태계 전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옥내 80%·옥외 90% 제한 충전율 권고사항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한전 전기요금 할인제도 약관 개정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또 ESS 화재·촉진 요금제 일몰 등 정책 변화로 향후 ESS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피크컷용' ESS 시장은 특례요금제가 일몰되면서 신규 시장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누적 설치 피크제어 사업장은 약 700개인 반면에 올해 신규 사업장은 약 10개에 불과하다.
진흥회는 ESS 업계가 자생력을 갖추고 연착륙하도록 인센티브제 일몰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개별 프로젝트를 적용하는 등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일몰제를 개별 기간제로 개편해 상업 운전 후 15년 동안 1배수인 ESS 기본요금할인을 적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부하 충전시간 요금 50%를 절감할 수 있는 전력량 요금할인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 권고에 따라 가동중단, 하향 운전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손실 보전을 위해 해당 기간만큼 일몰을 연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피크제어용 ESS 기존사업장은 배터리 충전상태(SOC)를 80~90%로 하향 운전에 따른 방전시간대를 추가로 부여하고, 심야 피크시간대 약 1~2시간 평균 최대 수요전력 감축량 산정에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또 계통연계형 ESS는 REC 제도를 보완해 태양광 발전용량 제한과 급전지시에 연동한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자균 전기산업진흥회장은 “ESS 산업계가 겪은 시련과 혹독한 경험이 약이 돼 세계 속 우리 ESS 위상을 높여가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때”라면서 “정부 그린뉴딜 정책추진으로 ESS 산업에 적극적인 투자가 반영되고, 민간 부분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보완과 지원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