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과 혁신성장' 토론회에선 정부, 산업계, 학계 전문가가 디지털 전환 성공을 위한 제언을 내놨다.
디지털 전환 이행과정에서 중소기업의 정보 소외, 디지털 전환 관련 전문 인력 부족, 부처간 정책 엇박자 등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을 제언했다.
다음은 토론 내용
◇좌장(장윤종 포스코경영연구원 원장)=디지털 전환 이행에 있어 정부, 기업 간 협의 체계 구축 등 다양한 얘기가 나온 것 같다. 각 분야를 대표한 참석자가 의견을 개진해 달라.
◇김학용(순천향대 교수)=미국 등 해외에선 디지털 전환이 산업, 소비자 섹터에서 동시에 추진된다. 디지털 기술보다 고객 가치,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새로운 사업 모델 발굴에 초점을 맞췄다.
국내에선 주로 산업계가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관점에서 디지털 전환을 바라본다. 화학, 중장비, 발전, 제철 등 대형 제조 산업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반면에 중소 제조사나 서비스 사업자는 큰 관심이 없다.
리테일, 금융권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지만 고객보다 공급자 관점에서 비용을 절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한편으론 '무엇'을 '왜' 바꾸려고 하느냐보다 '어떻게 바꿔야 하나'라는 방법론에 관심을 두면서 실익보다 기술 구현에 집착하는 모습도 엿보인다.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주는 디지털전환 경영컨설팅을 지원하는 게 절실하다.
◇이학성(LS일렉트릭 전력시험기술원 원장)=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한다. 신산업이 기존 산업을 위협하며 일부 산업은 위기의식이 뚜렷하다. 디지털 시대에 기존 핵심역량이 지속성장을 담보해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정부의 주도형 공급자 중심 산업정책 또한 유효성에 의문부호가 붙는다.
기업의 과제는 '과거부터 지속한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새롭게 전환할 것인가'이다. 또 지금까지 운영해 온 오퍼레이션 방법을 계속 사용할 수 있을까다.
개별 기업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산업이 경쟁력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도 기업 관심사이자 숙제다. 기업이 이런 과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기업을 어떻게 이끌어서 무엇을 유도해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민간이 주도하면서 정부가 어떻게 제도, 인프라를 구축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허성욱(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4차 산업혁명, 디지털전환 등 다양한 용어가 나오고 정책이 빠르게 돌아가면서 정책 당국도 어려움을 겪는다. 우선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뉴딜 정책적 차이를 말하자면 기술, 사회가 디지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먼저 사업적으로 성과가 빠른 것을 우선 추려서 정부가 지원하고 속도를 내겠다는 게 뉴딜이다.
이 과정에서 생각지도 못한 이슈가 파생된다. 디지털 의료 등과 관련해선 보험 문제가 그렇다.
일각에선 정부 투자 일변도라는 지적이 나오는데 IT, 바이오 분야로 쏠리는 민간 투자 등을 보면 그렇진 않은 것 같다. 5G 투자도 정부가 직접 투자하는 게 아니라 민간 투자를 독려하고 정책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전 지역이 고르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공감한다. 고민해야 할 지점이다. 부처 간 협업이 안 되고 있다는 지적도 많이 받는다. 디지털뉴딜 총괄부처로써 사안을 보니 각 부처가 지향하는 깊이, 내용 등이 다르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에서 보듯 이어달리기 등 정부 협업도 점차 가속화하고 있다.
◇장영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디지털뉴딜이 단순히 구호에 그치지 않고 이젠 예산, 법령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주도라는 비판이 제기되지만, 그렇진 않다. 정부가 화두를 제시하고 인프라를 정비, 제공하면 기업은 최적의 비즈니스, 다양한 솔루션을 찾고 있다.
디지털전환 특성상 하나의 업종 등으로 한정 짓기 어렵다. 융합이 특성이다. 각 부처가 다소 중복이 되더라도 다양한 관점에서 지원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규제 문제는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하면서 최대한 많은 규제를 제거하려 한다.
◇김우순(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정책과장)=과기정통부·산업부 등 부처는 물론이고 민간과도 협의해 정책을 펼치려 하고 있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 분석, 활용해 중소기업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하는 AI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을 구축했다. 마이제조데이터는 제조데이터 활용에 따른 이익을 데이터 생산 제조기업에 환원하는 모델이다.
5G+AI 스마트공장은 1000개까지 보급을 확대한다. 기업이 제조 문제와 해결방안을 찾아내고 표준 모델 기반으로 AI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I전문가 컨설팅과 실증을 지원한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