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가 튼튼한 경제로"…정부, 2030년 중견기업 기여도 30%로 높인다

정부, 혁신형 강소·중견기업 성장 전략
10년 내 경제기여도 10%P 이상 향상
글로벌 R&D 지원 사업에 1.5조원 투입
2024년 세계일류상품 1000개로 확대

정부가 강소·중견기업 육성에 팔을 걷는다. 오는 2030년까지 우리 경제 허리 역할을 하는 강소·중견기업 경제기여도를 현재 20% 수준에서 3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정부는 12일 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혁신형 강소·중견기업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민첩하고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의 중요성이 커졌다”면서 “한국판 뉴딜 실행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 육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양극화 해소 등은 강소·중견 기업 역량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항아리형 경제의 주역인 강소·중견기업 경쟁력 강화를 집중 추진했다. 하지만 최근 성장 정체기에 머무른 상태다. 중소에서 중견으로 성장하는 기업은 매년 10개 안팎이다. 세계일류상품을 배출하는 혁신기업 출현도 점차 줄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기업 규모와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적극 나선다. 강소·중견기업 매출은 물론 수출, 일자리 등 경제 기여도를 30%대로 상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선 중견기업이 기존 전통 사업과 내수 중심에서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혁신제품 개발, 수출판로 개척 등을 종합 지원한다.

글로벌 연구개발(R&D) 지원 사업인 '월드클래스300'과 우수기업연구소(ATC) 사업을 확대하는데 1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혁신성과 공공성이 높은 상품을 '혁신 제품'으로 선정, 공공기관 우선 구매를 장려한다. 수출 바우처 지원 사업도 확대한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698개인 세계일류상품 생산 중소·중견기업을 2024년까지 100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는 중견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해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 핵심기술 R&D 협력도 지원한다. 이공계 대학교수가 연구년을 활용해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중소·중견기업이 연대와 협력으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2024년까지 100개 신사업 협력모델도 찾는다.

2024년까지 디지털·그린 뉴딜, 소부장 등 국가 핵심 전략 분야 유망기업 1만2000개를 선정하는 등 차세대 혁신기업 육성에도 팔을 걷는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가기 위한 '매출 100억원' 돌파도 지원한다. 현재 국내 중소기업 95%는 매출 100억원 미만을 기록 중이다. 이 가운데 매출을 늘려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업체는 드물다.

정부는 중소기업 재직자 인센티브 강화 등 인력 부족 현상 완화에도 나선다. 성장 중인 중소기업에 대한 시설 투자 자금지원을 올해 8300억원에서 내년 1조1500억원으로 늘리는 등 정책자금 규모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 관계자는 “관계부처 합동 '글로벌 강소·중견 성장지원단'을 구성해 업종별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면서 “민간차원에서 혁신형 기업 육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도록 목요대화(국무총리 주재)를 활용해 업계·민간전문가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