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겉과 속 다 쓰는 신개념 에너지 저장 물질 개발

장지현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전극 소재

표면과 내부에 모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가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이용훈)은 장지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이차전지와 슈퍼커패시터의 장점을 갖춘 신개념 에너지 저장 장치에 쓸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소재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장 교수팀은 이 물질을 전극에 코팅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용 유연 슈퍼커패시터 제작에도 성공했다. 슈퍼커패시터에 대용량 이차전지의 장점을 더한 고속충전·고출력 만능전지(에너지 저장장치) 개발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슈퍼커패시터는 이차전지 보다 충전이 빠르고 필요한 전기를 빠르게 뽑아 낼 수 있는 전원 장치다. 전극 '표면'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꺼내는 쓰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수명도 반영구적으로 길고 작게 만들 수 있어 사물인터넷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물질 내부에 전기를 저장하는 이차전지에 비해 단위 질량당 에너지 저장 용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개발 물질의 전기에너지 저장 원리와 이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성능.
개발 물질의 전기에너지 저장 원리와 이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성능.

장 교수팀은 표면과 내부에 모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기반 전극 활물질(Active material)을 이용해 슈퍼커패시터의 저장 능력을 끌어올렸다.

슈퍼커패시터와 이차전지의 에너지 저장방식을 모두 활용했다. 물질 속 산소 음이온이 이차전지 리튬 양이온과 유사한 역할을 해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내부에서 흘러나온 코발트의 산화과정으로 표면에도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 물질을 전극에 코팅해 만든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단일 전극 시 에너지 저장 용량)가 215.8Wh/kg(218.54mAh/g)로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적용했을 때 보다 60% 정도 높게 나타났다.

순간 출력을 가늠하는 지표인 전력밀도도 14.8kW/kg으로 높았다. 이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해 3.6V의 LED 조명을 켤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구부리거나 비틀어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장지현 교수는 “이번 연구로 물질의 모든 부분을 에너지 저장에 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기존 이차전지와 슈퍼커패시터의 한계를 보완하고 장점만을 취사선택해 신개념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