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청장 김용래)은 권리자 생산능력을 초과해 판매한 침해품도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2일 밝혔다.
만약 침해행위가 없었다면 실시권 계약으로 권리자가 받을 수 있었던 이익을 손해배상액에 포함하도록 한 것으로 내년 6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그동안은 침해가 대규모로 이뤄지더라도 권리자 생산능력을 초과한 판매량에 대해 손해배상을 받을 수가 없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사용권계약 체결보다 오히려 침해행위가 이익이 되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특허청은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5월 '손해배상액 산정방식 개선'을 특허법에 먼저 도입했다.
이번 개정안으로 대부분 지식재산(저작권 제외) 손해배상 산정기준이 동일하게 돼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침해가 동시 발생한 경우, 서로 다른 손해배상 산정기준으로 인한 시장의 혼란을 덜 게 됐다.
지식재산 침해에 대해 손해액을 산정하면서 3배 배상 제도를 도입한 국가는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다. 또 이러한 제도를 성문법에 모두 반영한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정연우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지식재산이 제 값을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으며, 앞으로 소송과정에서 3배 배상제도와 개선된 손해액산정방식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형 증거수집절차 도입을 추진할 것”이라며 “일부 반도체업계에서 우려하는 사항에 대해 관련업계와 보완책을 마련하는 등 우리 실정에 적합한 제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