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인공지능(AI) 인재양성 고도화 방안은 무엇인가.'
4일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는 이 같은 질문에 대해 논의하는 '2020 AI 대학원 심포지엄'이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AI 대학원협의회·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관이었다. 이날 행사는 참석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기조 강연에서는 AI 분야 석학인 로니 로센펠드 카네기멜론대 교수, 2017년 아마존 AI 경진대회 우승 경력의 최예진 워싱턴대 교수가 나서 AI 학과의 발전방향, 범용 AI 이해를 다뤘다.
이후 정송 KAIST AI 대학원장을 좌장으로 열린 패널토론에서는 AI 산학협력, 인재양성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서영주 포항공대 AI 대학원장, 이지형 성균관대 AI 대학원장, 김지원 SKT 비전 AI 랩장, 임우형 LG AI 연구원 데이터 인텔리전스 랩장, 하정우 네이버 AI 연구소장이 참여했다.
하정우 소장은 “실제 AI 문제를 푸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기업이 AI 대학원 교수들과 수많은 AI 문제를 만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AI 문제 관련 상시 '리더 보드'를 운영하고, 이를 수업 교과에 도 활용하게 하면, 실제 AI 경험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영주 원장은 “대학원 이전 학부 때부터 체계적인 AI 교육을 해야한다”고 피력했다.
또 “취업을 노리는 청년들에 대한 AI 교육이 인재수급은 물론이고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도 도움 줄 것”이라고 전했다. 데이터 공유를 통한 산학협력으로 대학과 기업이 함께 이득을 얻는 것도 해법으로 제시했다.
이지형 원장은 기업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그는 “퍼스트 무버를 추구할 수록 기업도 그만큼 인재양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정부가 힘을 보태야 하나는 의견도 개진해다. 그는 “정부가 인재양성에 장기간 투자해줘야 한다”고 했다.
정송 원장은 산학이 인턴십, 겸직과 같은 형태로 장기간 협력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AI 연구에 필수한 컴퓨팅 파워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이날 행사에서는 AI 대학원 구심점 역할을 할 'AI 대학원 협의회' 출범식이 열렸다. AI 대학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2개 대학총장과 과기정통부 장관의 간담회도 진행됐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에서 AI 대학원을 만들어 확산시키는 중으로, 내년부터는 여러 교육연구기관 구심점 역할 할 AI 교육연구허브도 만들 계획”이라며 “이번 행사 계기로 AI대학원협의회가 공식 출범했는데, 관련 구심점 돼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