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공유수면 '그린에너지' 파이 커진다

[이슈분석] 공유수면 '그린에너지' 파이 커진다

# 국내에 공유수면(해상·수상)을 활용한 '그린에너지' 바람이 불고 있다. 우리나라는 3면을 바다가 둘러싸고 있는 등 공유수면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글로벌 기업들까지 경쟁적으로 해상풍력과 수상태양광 등 관련 사업에 잇달아 뛰어들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발전단가는 지속 하락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환과 그린뉴딜 정책 추진으로 관련 시장 규모는 급팽창할 전망이다.

◇국내 해상풍력·수상태양광 잠재 규모는?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육·해상풍력 생산 능력을 16.5GW까지 확대한다. 이 가운데 해상풍력에만 12GW를 설치한다는 목표를 잡았다. 전체 풍력 대비 약 73%를 해상풍력으로 채우는 것이다. 주요 프로젝트는 전북 서남권(2.4GW)와 신안(8.2GW), 울산(6.0GW), 제주(0.6GW), 인천(0.6GW) 등이다. 3면 바다가 모두 대상인 셈이다. 해상풍력 개발 초기 서해안에 집중됐던 것과 대비된다.

탐라해상풍력. [사진= 두산중공업 제공]
탐라해상풍력. [사진= 두산중공업 제공]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8년 2월 기준 발전 사업을 허가 받은 해상풍력은 총 9개 762.2㎿로, 이 중 90% 이상이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해안 등에 위치했다. 서해안의 경우 낮은 수심 덕분에 해상풍력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띄우는 부유식 기술 발전으로 수심이 깊은 동해안 지역에도 해상풍력을 설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등이 발표한 신재생에너지백서에 따르면 국내 해상풍력 기술적 잠재량은 33.2GW로 평가됐다.

수상태양광도 각광받고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총 저수면적의 5%인 26.6㎢만 활용해도 수상태양광 1612㎿를 발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 합천호 수상태양광을 필두로 세계 최초 수상태양광 상용화에 성공했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별개로 새만금 수상태양광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새만금호의 약 30㎢를 활용, 세계 최대인 2.1GW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이는 여의도 면적 대비 약 10배로, 약 10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여기에는 약 500만개 이상 태양광 모듈 수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진출 기업들은?

우리나라 해상풍력·수상태양광 시장 확대 전망에 글로벌 기업 진출은 빨라지고 있다. 세계 1위 해상풍력 디벨로퍼인 덴마크 오스테드가 대표적이다. 최근 오스테드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천지역에 1.6GW 규모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13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풍력 발전기 100기 이상을 설치, 2027년부터 상업운전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오스테드는 인천 옹진군으로부터 공유수면 사용허가를 받아 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자 공모와 발전사업 및 개발행위 허가 등을 거쳐 사업을 추진한다.

해상풍력 기자재업체들도 국내 진출을 가속하고 있다. 세계 풍력타워 1위 업체인 씨에스윈드는 국내 공장 건설을 위해 전북도, 군산시와 협의하고 있다.(본지 7일자 1면 '풍력타워 세계 1위' 씨에스윈드, 첫 '국내 공장' 세운다 참고) 씨에스윈드는 국내 업체이지만 중국, 말레이시아, 대만, 터키, 영국, 베트남 등 해외에 생산공장을 구축해왔다.

청풍호 수상태양광. [사진= 전자신문 DB]
청풍호 수상태양광. [사진= 전자신문 DB]

수상태양광 시장에서도 기업 진출은 활발하다. SK E&S가 새만금개발청으로부터 우선협상권을 따낸 200㎿ 새만금 수상태양광 개발 사업에는 일찌감치 세계 1위 태양광 모듈 업체인 한화큐셀과 국내 신성이엔지 등이 수주 경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 E&S의 경우 내년 초께 태양광 모듈 납품 업체 등을 선정할 계획”이라면서 “하지만 벌써부터 물밑 수주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경쟁은 해상풍력과 수상태양광 발전단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해상풍력 균등화발전비용(LCOE)은 2016년 1㎾h당 0.19달러에서 2018년 0.13달러까지 내렸다. 오는 2022년에는 현재보다 60%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상태양광 LCOE도 태양광 LCOE 하락에 비례해 내림세다. LCOE 하락은 경제성이 높아진 만큼 보급화가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과제는?

관건은 우리 기업들이 얼마나 과실을 먹을 수 있는지 여부다. 이미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수상태양광은 논외이지만, 해상풍력의 경우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상풍력 핵심 기자재인 풍력터빈이 대표적인 예다. 우리나라에선 두산중공업과 유니슨만 풍력터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5.5㎿ 풍력터빈을 개발한 상태다. 2019년 세계 해상풍력 터빈 평균 크기가 6.5㎿인 것을 감안하면 기술 개발이 뒤처진다. 유럽의 경우에는 설치된 풍력발전기 평균 크기가 7.2㎿에 이르고 있다. 해외 선두 업체인 베스타스, 지멘스, GE 등은 이미 10~12㎿급 터빈을 실증하고 있다.

현재 풍력 산업 추세는 '대형화'다. 대평 풍력발전기일수록 전력 생산효율이 높은 데다 유지비도 적게 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6㎿급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때 6㎿급 1기를 설치하는 것이 3㎿급 2개를 잇는 것보다 구매비용과 유지비용을 각각 6%, 14% 절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스테드만 해도 인천지역에 1.6GW 규모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설립할 때 국산 풍력터빈 대신 선진 업체 제품을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기술력 강화가 시급한 셈이다.

풍력업계 관계자는 “해상풍력 기자재 기술력은 선진 업체들과 비등한 수준”이라면서 “하지만 풍력터빈 등 핵심 기술에서는 여전히 격차가 있는 만큼, 향후 얼마나 빠르게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지가 해상풍력 시장을 선점하는데 있어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