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산업계 "자율주행 시장 선도하려면 V2X 표준 확립 서둘러야"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자율주행차 인프라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차량사물통신(V2X) 관련 표준을 정부가 조속히 단일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8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한미 디지털경제 협력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원철 숭실대 IT대학장, 이성엽 고려대 교수, 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 회장.
8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한미 디지털경제 협력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원철 숭실대 IT대학장, 이성엽 고려대 교수, 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 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이하 암참)는 8일 서울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자율주행의 기술 표준 국제동향 및 한미 협력방안'을 주제로 '제1회 한미 디지털경제 협력포럼'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를 비롯해 학계, 한화디펜스, LG유플러스, 카카오 모빌리티, 퀄컴, 3M, 비스티온 등 관련 기업이 참여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현재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100억 달러(약 11조 원) 미만이지만, 2035년 1조 달러(약 1100조 원)까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면서 “최근 자율주행 기술에 있어 차량과 주변 사물을 연결하는 통신 기술 관련 표준 논의가 활발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이 자율주행 관련 기술표준을 속속 확정 짓고 있다”면서 “한국도 글로벌 스탠다드와 부합하도록 정부가 신속하게 틀을 마련해줘야 자율주행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선점에 우리 기업들이 속도감 있게 대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이 제1회 한미 디지털경제 협력 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이 제1회 한미 디지털경제 협력 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임스 김 암참 회장은 “자율주행 분야는 과학에 기반한 글로벌 표준을 정하는 것이 세계 시장 리더십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면서 “미국과 한국 모두 자동차와 IT 분야 혁신 강국이자, 상호 의존도가 높은 경제 강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양국이 핵심 신산업에 성공적으로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가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시범과 실증사업에서 채택한 근거리전용무선통신(DSRC)이 미래 트렌드와 글로벌 동향에도 부합하는 기술 표준인지 객관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V2X는 5G망을 활용하는 C-V2X와 기존 와이파이를 활용하는 DSRC 두 가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어느 쪽에 맞춰 기술을 표준화할지 결정하지 않았다.

이원철 숭실대 IT대학장 겸 정보과학대학원장은 “차량과 사물에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인 차량사물통신에 초고속 초연결 5G 셀룰러 통신기술을 접목시킨 C-V2X는 여러 면에서 와이파이 기반 DSRC보다 우수한 점이 많다”고 조언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자율주행 기술 진보와 상용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규제를 정부 차원에서 과감히 혁파하고, 관련 표준 확립에도 박차를 가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신유철 산업부 미래자동차팀장은 “지난달 산업부에 미래자동차산업과를 신설하는 등 미래차 중요도에 발맞춰 생태계 조성과 제도 지원에 역점을 두고 있다”면서 “자율주행차 핵심 부품개발 지원과 개발된 부품의 테스트베드 제공, 산업 저변 확대 지원 등 구체적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신대식 과기부 디지털포용정책팀장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착수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 사업 성공을 위해서는 부처 간 협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