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통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조율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후순위로 미루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8일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한 뒤 이뤄질 것으로 보였지만 한미 정상통화는 이번주도 기약이 없는 상태다.
통상 미국은 멕시코와 캐나다 등 북미 국가, 영국 등 유럽에 이어 아시아 국가와 정상통화를 한다. 일본, 한국 순으로 정상통화를 하는게 관례처럼 여겨져왔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그래왔다.
그러나 미국은 일본과의 정상통화 이후 주말이 지나고 바이든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한지 이틀이 지나도록 문 대통령과의 정상통화를 하지 않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도 정상 통화가 곧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에 맞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한미동맹 강화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추진을 위해 외교부와 통일부, 국방부 업무보고를 대면으로 받았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타 부처 업무보고가 서면 위주로 진행되는 것과 달리 우선순위를 뒀다. 또 외교부 장관과 국가안보실 제2차장,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 등 외교라인을 바이든 미 행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해 개편했다.
정치권에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지난달 26일 정상통화가 한미 정상간 통화를 늦추는 이유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야당 관계자는 “우리 정부와 정상간 통화 일정을 조율하는 상황에서 중국과 먼저 통화를 한 것은 미국 입장에서도 탐탁치 않았을 것”이라며 “미중 양국 사이에서 끌려다니지 않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신경전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3일(한국시간)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가 지연되는 상황에 대해 “우리의 대중 접근법은 전략적”이라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이 관계를 동맹·파트너들과의 관여를 포함해 힘의 위치에 접근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일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은 미국과 관계 개선 의지를 내비쳤다. 다만 중국 주권과 안보, 발전이 달린 문제에 대해 미국이 선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은 지난 1일 미국의 미중·관계전국위원회 영상회의에서 상호존중과 협력을 강조했다. 홍콩과 대만, 신장 위구르 소수민족 자치구 문제에 대해선 미국이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