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떠도는 우스갯소리 중에 이런 것이 있다. 검은색 바탕에 유명한 인물의 사진을 넣고 그 옆에 아무 말이나 갖다 붙이면 명언이 된다고 말이다. 그런데 이런 자조 섞인 농담은 인간 본성에 대한 진실을 품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어떤 인물이 권위 있다고 믿으면 그 인물의 헛소리까지도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1970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재밌는 실험이 진행됐다. 그날 심리학자, 정신의학자 집단은 각각 두 강연자에게 '의료인 교육에서 수학적 게임 이론의 적용'이라는 수업을 들었다. 일단 말도 안 되는 강의 제목은 물론 수강생들이 전혀 알 수 없는 내용이어야 했기 때문에 일부러 지어낸 것이다. 수강생 한 집단은 실제 과학자에게 강의를 들었다. 또 다른 한 집단은 '마이런 폭스 박스'라는 이름의 가짜 정체성을 부여받은 연기자가 했다.
◇강의 내용보다는 강의자의 태도가 중요하다
첫 실험에서는 마이런 폭스 박사가 힘없고 느리고 단조로운 어조로 강의하게 했다. 그 결과 강의가 끝난 후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테스트했을 때 진짜 과학자에게 배운 학생들이 더 좋은 점수를 받았다.
다음 실험에서는 폭스 박사를 다르게 행동하게 했다. 아주 열정적이고, 청중들의 폭소를 자아낼 만큼 유머 넘치게 강의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강의 내용은 그저 엉터리 원고를 외운 것 뿐이었다. 하지만 수업이 끝난 후 강의 평가에서 학생들은 진짜 과학자의 강의보다 폭스 박사의 강의가 더 좋았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학생이 교육을 평가할 때 강의의 내용보다는 강연자 표정, 태도, 자신감 같은 요인에 휘둘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폭스 박사가 한 강의는 엉터리라서 앞뒤가 맞지 않았고, 의미도 없었으며 알쏭달쏭한 전문 용어로 가득차 있었다. 그런데도 단지 열정적인 태도 때문에 학생들은 폭스 박사가 강의를 잘한다고, 그 내용이 대단하다고 믿은 것이다. 심지어 학생들은 현직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교육학자였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심리학계에서는 이를 '폭스 박사 효과'라 부른다.
우리는 권위에 취약하다. 우리가 이해 못하는 용어나 개념을 주워 섬겨도 그 사람이 확신에 차 있고, 열정적이면 실제로 그런 개념이 있다고 믿어버린다.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후광 효과'이다. 후광 효과란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우리는 그 사람에 대해 느끼는 아주 일반적인 인상에 따른다는 것이다. 그 인상이 객관적이지도 않고 편견에 치우쳐 있는데도 말이다.
후광 효과는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다. 가장 흔한 것은 상대의 외모를 보고 상대의 성격까지 지레 짐작해버리는 것이다. 우리는 멋진 외모를 가진 사람들을 보면 그 사람이 외모만큼이나 착하고, 친절하고, 지성이 있고, 성공적인 인생을 살며,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 그 사람이 어떤 성격을 갖고 있고 어떤 삶을 살아 왔는지 전혀 모른다.
폭스 효과는 강연자가 가진 성격과 비언어적인 요소가 후광을 만든 것이다. 실제로 후속 실험에서 외향적이고 열려있고 활달한 교사들이 더 실력 있고 학생들을 잘 가르친다는 평가를 받았다. 교사가 가진 특유의 카리스마나 유창한 말솜씨도 중요했으며, 눈 맞춤, 미소, 표정, 학생과의 거리 같은 비언어적인 행동도 교사 평가에 중요하게 작용했다. 외모는 말할 것도 없다. 심지어 의상도 중요했는데, 티셔츠나 청바지를 입은 교사들은 더 유연하고 공정하며 열려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실제 강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우리의 편견을 강화하는 요소이다.
시사 프로그램을 보면 엉터리 교주에게 속아 인생과 재산을 바치는 안타까운 사람들이 자주 나온다. 그런 교주들은 대개 폭스 효과를 잘 활용한다. 세계와 인생에 관한 확신에 찬 발언들, 알쏭달쏭한 개념들,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의상이나 화장을 적극 이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가짜 전문가에게 속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앞에서 언급한 심리학 연구들을 되새기며 우리가 권위에 취약하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래야 맹목적인 믿음이 생기기 전에 과연 내 믿음이 온당한가를 점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너무나 확신에 차고 단호한 어조로 말하는 전문가가 있다면 한 번쯤 그 내용을 교차 검증해보는 것이다. 어떤 사람도 완벽할 수는 없다. 진짜 전문가는 그 사실을 잘 알기에 자신이 잘 아는 분야라고 하더라도 명확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피한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논문의 결론 부분에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같은 문장을 쓴다. 권위에 대한 존중은 필요하지만 권위에 매몰되지 않아야 한다.
글: 이형석 과학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