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정부가 코로나19 속에서 서비스 산업의 비대면·디지털화를 꾀한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중소기업에 2조원 우대 보증하고,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영세 소상공인에게 키오스크·디지털결제 단말기 20만대 보급하기로 했다. 이같은 대책으로 2025년까지 새로운 일자리 30만개를 창출, 산업 부가가치 비중을 65%까지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우선 중소 영세상점 10만개, 중소기업 1350개사의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영세상인이나 중소기업도 업무 자동화나 자동고객 응대 등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 소상공인의 경우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자부담률은 30%다. 혁신솔루션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경우 지원 금액이 최대 6000만원이고, 부담률은 50%다.
빅데이터, AI 등을 활용하는 서비스 기업에는 2조원 우대 보증을 지원한다. 서비스 산업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나 스마트 서비스로 전환을 돕겠다는 취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초 인프라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 서비스 연구개발(R&D) 지원을 2025년까지 5년간 7조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체크리스트·주요 지원사례 등을 포함한 서비스 R&D 가이드라인도 작성해 배포한다.
음식숙박·도소매 등 생활밀착형 업종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을 통해 고도화를 추진한다.
2023년까지 소상공인에 키오스크, 디지털 결제 단말기 20만대를 보급하고, 2025년까지 1600개소를 대상으로 주방 실시간 공개 시스템(CCTV) 설치 비용 및 행정처분 감면 등 규제 인센티브를 준다.
아울러 가상현실(VR) 지도 등을 활용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500곳 조성하고, 빅데이터 기반 경영컨설팅 대상 업종도 30개로 넓힌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Over the Top)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콘텐츠 현지화 작업 및 법률 자문에 올해 22억원을 투입하고, 맞춤형 투자를 지원하는 핀테크 혁신펀드를 5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서비스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하기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이 통과되면 서비스산업 발전 정책 등을 심의·조정하는 서비스산업발전위원회를 신설하고, 중장기 정책방향 제시 등을 위해 5년 단위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연도별 시행계획을 마련한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