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등 디지털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도입하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한 계약금액이 제도 시행 다섯 달만에 1000억원을 돌파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 도입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AI 고성능컴퓨팅 자원 임차(NIPA)' '부산 블록체인통합서비스 B PASS(KISA)' '사물인터넷 작물정밀관리기술 정보서비스(농촌진흥청)' 등 다양한 대규모 계약이 완료돼 계약 금액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고 7일 밝혔다.
제도는 디지털서비스 산업 성장을 이끌기 위해 디지털정부혁신·디지털뉴딜 일환으로 마련됐다.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계약을 통한 공공 신서비스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됐다.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에서 선정된 서비스는 수의계약, 카탈로그계약이 가능해 기존 입찰방식보다 단순한 계약절차를 밟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달요청부터 계약까지 장기간(80여일)이 소요돼 충분한 사업 기간 확보가 어려웠던 기존 계약방식을 개선했다. 계약절차를 1∼2주 내로 획기적으로 단축, 예산 조기 집행과 보다 내실 있는 사업 추진 등이 가능하게 됐다. 일례로 2021년 고성능컴퓨팅 자원임차 용역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활용해 계약 기간을 약 한 달 단축했다.
제도를 통해 장기계속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제공사업자는 2022년까지 안정적으로 고성능컴퓨팅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수요기관은 같은 예산으로 전년 대비 고성능컴퓨팅 자원을 20% 더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매월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를 개최해 보다 다양한 디지털서비스가 등록되도록 할 예정이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가 도입된 이후 인공지능 기술 융합 서비스 등을 포함해 총 34개의 디지털서비스가 선정·등록됐으며 도입 계약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제도를 통해 다양한 혁신 서비스가 공공부문에 도입되고 디지털서비스 산업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해 디지털 뉴딜 성공을 이끌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
김지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