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계와 지방자치단체가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화물창 핵심 기술인 극저온 단열시스템 국산화를 추진한다. 원천 기술을 보유한 프랑스 업체에 지불하는 1척당 수백억원대의 기술료를 아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보수적인 선주들을 감안할 때 국산화 성공에도 실질 자립은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고한 '친환경 선박용 극저온 단열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기반 구축 사업'에는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등이 참여한 울산시와 현대삼호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이 참여한 전남도가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부는 관련 사업에 올해 신규 예산 20억원 안팎을 배정한 바 있다. 참여 자격으로 중소·중견기업으로 구성된 주관연구기관 단독 또는 산학연 등 공동연구기관과 컨소시엄으로 한정했다.
관련 업계가 이 사업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극저온 단열 시스템 국산화가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 시스템은 LNG 화물창 핵심 기술 가운데 하나다. LNG 화물창은 LNG를 영하 160도로 유지 보관하는 저장창고다. 내부 온도가 조금만 올라도 급격한 가스 팽창으로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을 요한다.
그러나 LNG 화물창 원천 기술은 프랑스 GTT가 전부 보유했다. 이로 인해 조선업계는 LNG선 척당 수주 선가 약 5%(100억원 안팎)를 GTT에 기술료로 지급해 왔다. 현재까지 누적 지불액은 3조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극저온 단열 시스템 국산화는 이런 기술료 비용 절감과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 대비 가격 및 기술 경쟁 우위를 점하는 데 유리하다.
다만 일부에선 향후 국산화에 성공한다 해도 수혜는 미미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조선 3사가 한국형 LNG 화물창 KC-1 등을 개발했으나 선주들이 애용하지 않는 선례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GTT 화물창 중심으로 고착돼 있는 탓에 선주들이 다른 화물창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원천 기술료로 빠져나가는 돈이 적지 않다”면서 “그렇다고 연구개발(R&D)을 소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