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제주도, 한국전력이 제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최소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도청, 한국전력 등은 9일 제주도청에서 '2021년 제1차 제주 에너지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제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관련 세부 이행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과도하면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강제로 발전기를 멈춰 세우는 것이다.
지난해 제주도에서는 총 77회의 출력제어가 발생했다. 재생에너지 설비 증가로 인해 발전출력 비중이 16.2%로 높아지면서 수요보다 전력이 과잉 생산됐기 때문이다.
전력이 과잉 공급되면 전력계통에 과부하가 일어나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제주의재생에너지 출력 비중은 2015년 9.3%에서 지난해 16.2%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출력제어 횟수·비중도 3회·0.04%에서 77회·3.24%로 확대됐다.
산업부는 제주도청 등과 함께 지난달 발표한 제주 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을 올해 추진한다.
우선 필수운전 발전기를 최소로 운영한다. 필수운전 발전기는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정전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운전해야 하는 발전기로 급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중유 등이 해당한다.
아울러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계통안정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한다. 제주-육지 간 해저케이블(HVDC·고압직류송전)로 제주도 내 잉여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역송'도 추진한다.
이외에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해 수소로 전환하는 P2G 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 기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 기술 등을 제주도에 우선 적용한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혁신정책관은 “전력 수요에 맞춰 발전기를 제어하는 것은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모든 발전기에 적용되는 공통된 사항”이라면서 “단기적인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뿐 아니라 중장기적인 보상원칙 마련, 관련 시장 제도 개선 등을 통한 비용 효율적인 출력제어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