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줄기세포 유래 3D 간세포 구조체 생산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미징 기반 세포 독성평가 시스템으로 검증까지 마쳤다.
간세포는 신약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간독성 평가에 쓰인다. 균일한 세포 구조체 대량생산, 실시간으로 독성 여부 판별 기술이 요구된다.
기존에 쓰인 2D 간세포 모델은 생물학적 조직 환경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세포 미성숙화로 독성평가 결과도 부정확했다.
연구팀은 3D 세포모델을 활용, 세포 구조체를 균일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랬으며, 독성 스크리닝 활용 가능성을 이미지 기반 세포독성 평가 시스템을 통해 검증했다.
김종훈 고려대 생명과학대 교수팀이 3D 간세포 구조체를 생산했고, 이를 바탕으로 KIT 세포모델연구그룹에서 간독성 약물 노출 및 이미징 기반 독성 분석을 수행했다.
초대 배양 간세포(인체에서 분리해 배양한 간세포), 3가지 종류 줄기세포 유래 2D 간세포, 3D 간세포 간 독성 반응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를 통해 생산된 3D 간세포 구조체는 기존 2D 간세포에 비해 민감한 독성 반응성을 나타냈다. 3D 간세포 구조체는 신약개발 초기 단계에서 독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신뢰성 있는 평가 플랫폼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김은미 세포모델연구그룹장은 “3D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 구조체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맞춤형 신약개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향후 세포모델연구그룹은 이미징 기반의 독성 스크리닝 기술과 줄기세포 유래 간 인공장기를 접목해 더 고도화된 독성평가 기술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해당 연구 내용은 생체재료공학분야 1위 저널인 'Biomaterials(IF 10.3)'의 제 269권호에 올해 2월 게재됐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