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중앙서버가 아닌 개인 스마트폰에 자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형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개인 데이터 수집·활용시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기존 방식에서 완전히 탈피한 형태여서 추후 다른 지자체나 민간기업의 마이데이터 사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눈길을 끈다.
7일 업계와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경기도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실증사업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주관으로 발주했다. 오는 14일 서류 접수를 마감하며 사업자 선정 후 6개월 동안 시스템을 구축한다.
경기도는 국내 지자체 중 처음으로 지난 2019년부터 도민이 사용한 지역화폐 카드 내역을 집계해 각 카드 데이터에서 발생한 수익을 되돌려주는 '데이터 배당' 정책으로 마이데이터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배당에 동의한 20개 시·군 지역화폐카드의 사용자 나이와 성별, 지역화폐카드를 사용한 가맹점 정보 등의 데이터를 집계해 빅데이터화했다. 이 데이터는 지역 기업이나 연구기관 등이 유료로 구매해 정책 연구나 제품·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하고 있다.
경기도는 매년 데이터 판매로 발생한 수익을 도민에게 환급했다. 내 데이터 수집·활용에 대한 주권을 명확히 인식시키고 기업의 개인 데이터 독점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다. 이 사업을 더 고도화·체계화하기 위해 분산형 구조의 마이데이터 플랫폼 실증사업에 나섰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지역화폐 데이터 거래로만 데이터 배당이 이뤄지고 있으나 새로운 거래 데이터를 발굴함으로써 데이터 배당 정책을 지속 가능하게 고도화하려고 한다”며 “또 개인이 일상에서 데이터 주권을 체험하고 체계화된 시스템 기반에서 수익을 환원받는 플랫폼이 필요해 이번 사업 추진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 데이터를 중앙서버가 아닌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에 저장해 정보 주체가 관련 내역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주체가 자신의 데이터를 언제든 열람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기관이나 기업에 일정 기간동안 직접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이동권을 구현한다.
경기도는 신설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 기반으로 도와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정보, 활동기록, 수급기록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그동안 각 주체가 회원정보를 별도 관리하면서 통합된 도민별 정보분석이나 연계 활용 등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분산ID(DID)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별도 회원가입 없이 사용자 식별·인증이 가능하게 구현할 계획이다. 기존 운영하는 '경기알림톡'과 통합해 특정인에 대한 알림 서비스도 제공한다.
지금까지 일일이 수기로 정보를 입력해 제공해온 데이터 배당은 시스템 기반으로 자동화한다. 정책자금이나 데이터 배당 지급 시 대상자 선별·알림, 지역화폐지급 등의 절차를 지급시스템 상에서 자동화하게 된다.
마이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공공 리포트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주거, 가족형태, 직업, 세금 등을 비교하는 행정리포트 △건강검진기록 기반의 본인과 가족 건강 리포트 △상권 활성화 분석 등을 담은 소상공인 리포트 등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중앙집중형 데이터 관리·활용을 지양하고 사용자가 모든 권한을 갖는 것이 골자”라며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권리를 생활에서 체험함으로써 데이터 주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공공형 마이데이터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플랫폼 구축' 발주...6개월간 진행
-
배옥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