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 1.0 여섯 가지 주요 상품을 기반으로, 제로페이 2.0은 개인특화, 디지털 정부, 디지털 소상공인 세 가지 지점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효주 한국간편결제진흥원 본부장은 15일 전자신문이 개최한 '제12회 스마트금융 콘퍼런스'에서 '제로페이 2.0' 방향성을 이같이 정의했다.
간편결제 기반 디지털 인프라 제로페이는 2018년 12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전국 5대 편의점을 가맹점으로 확보하고 지역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 연계를 본격화한 2019년 11월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출범하며 제로페이 사업을 전담하게 됐다.
2019년 12월 기준 32만개를 기록했던 제로페이 가맹점 숫자는 1년 만에 72만개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5월 기준 91만개 돌파, 증가 속도를 고려할 때 연말까지 120만개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로페이 1.0은 △직불 제로페이 △법인 제로페이 △해외 제로페이 △온라인 제로페이 △후불 제로페이 △선불 제로페이 6개 기반 결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여섯 가지 서비스 구축이 간편결제 인프라 확보를 위해 고속도로를 까는 과정이었다면, 제로페이 2.0은 깔아놓은 고속도로를 각 경제 주체들이 참여해 다양하게 활용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한결원은 제로페이 2.0 첫 사업으로 제로페이 결제 시스템을 육군 내 복지시설에 구축하는 '밀리페이' 사업을 개시했다. 육군은 연내 복지시설 200여개소에 제로페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별도 육군 제로페이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및 시범 운용까지 끝마친다는 계획이다. 제로페이가 도입되면 복지시설을 운영하는 부대는 기존 신용카드 대비 결제 수수료를 줄이고, 장병과 군인가족 등은 높은 비율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로페이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특화 전용 앱으로도 진화하고 있다. 병무청 병적증명서를 활용한 육군 인증 방식으로 적용 범위를 넓힌 '밀리패스'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군인이 군 관련 시설을 출입하거나 예약 시, 제로페이 QR코드 등을 통한 간편 인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군인 대상의 자기 계발 복지혜택 제공이나 군인 커뮤니티 등 개인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결원은 '세계 최고의 간편결제 인프라를 만든다'는 미션 아래 △가맹점에 집중한다 △부가가치 창출은 참여 주체들이 한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소상공인의 이익을 지향한다는 네 가지 원칙을 제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을 위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소상공인 빅데이터 플랫폼'을 준비 중이다.
제로페이 결제를 통해 창출된 가맹점 정보와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에는 소상공인 정책을 위한 통계 대시보드를 제공한다. 동시에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에는 마이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개방, 소상공인 대상 IT 서비스를 마음껏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지털 정책자금 집행 플랫폼으로서 용처도 확대되고 있다. 제로페이 플랫폼으로 전달된 서울교육청 '입학지원금' 사례가 대표적이다. 중·고등학교 신입생에게 제공되는 지원금을 제로페이 플랫폼으로 전달, 복지카드 발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아끼면서도 실시간 전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됐다. 올해 1분기 기준 1850억원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로페이 플랫폼을 통해 전달됐다. 올해 기준 정부 예산 약 558조원 중 사회복지 부문에 사용된 예산은 199조원에 달해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문효주 본부장은 “디지털정부 지원 방안 중 하나로 코로나19 방역 관련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며 “백신을 맞은 사람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도 곧 선보일 예정으로 놀라운 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
-
이형두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