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체 추진제 탱크 3D 프린팅으로...생기원, 시제품 제작해 성능평가까지 '합격'

30bar 가스 내압평가 중인 공통격벽 형태의 발사체용 추진제 탱크
30bar 가스 내압평가 중인 공통격벽 형태의 발사체용 추진제 탱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낙규)은 손용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연구원팀이 금속 3D프린팅 기술로 우주 발사체용 추진제 탱크 시제품 제작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시제품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미래발사체연구단 성능평가에도 합격, 상용화 기대감을 높였다. 양 기관은 지난해 10월 '항공우주부품 제조자립 업무협약'을 체결, 이번 성과 창출에 나섰다.

개발 시제품은 금속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두 개 탱크를 한데 합친 공통격벽(두 개 구형이 위아래로 겹쳐진 형상) 형태다.

기존 발사체용 추진제 탱크는 '산화제'와 '연료' 탱크를 별도로 제작, 이어붙인 형태다. 숫자 '8'과 같다. 이 경우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고 부피도 커 공간 효율성이 떨어졌다.

손 박사 연구팀은 탱크 벽면 위에 또 다른 탱크를 바로 겹쳐 쌓아 올리는 제작 기법을 고안했다. 이는 소형발사체 상단 설계 시 공간 효율성을 12% 높이고, 부품무게는 27% 낮춘다.

연구팀은 복잡한 형상 구현을 위해 직접 에너지 적층(DED)방식 금속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했다. DED방식은 공정 시간이 길어질 경우 열 누적으로 제작품 열변형을 일으킬 수 있어, 기존에는 주로 소요시간이 짧은 파손 부품 보수 등에만 쓰였다. 이번에는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을 더해 공정 변수를 적절히 제어, 제작시간이 긴 추진제 탱크 부품도 고품질로 제작하는데 성공해다.

공통격벽 구조 축소 추진제 탱크는 30bar 내압 성능평가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생기원은 향후 3D프린팅 기술이 성형, 용접 및 절삭 등의 전통적 우주발사체 탱크 생산방식을 대체하고, 구조 설계의 자유도 향상, 공정 자동화, 제작 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했다.

손용 연구원은 “해외에서는 이미 다품종 소량생산의 맞춤형 항공우주부품 제작에 3D프린팅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항우연과 협력해 3D프린팅 기술 적용 항공우주 부품 개발과 제조산업 혁신을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