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글 상장지원 컨설팅 서비스 놓고 '브로커 논란' 갑론을박

쟁글 상장지원 컨설팅 서비스 놓고 '브로커 논란' 갑론을박

가상자산 정보공시 민간 플랫폼 '쟁글'이 제공하는 '상장지원 컨설팅 서비스'가 가상자산거래소 상장 브로커 논란에 휘말렸다.

쟁글은 상장지원 상품을 운영하면서 건당 약 5000만원(4만4000달러) 수익을 받았는데, 일정 기간 내 상장에 실패하면 비용 절반을 환불한다는 조항을 계약 조건으로 달았다. 일각에서는 코인 안정성 평가를 사실상 국내 독점하고 있는 쟁글이 상장을 대가로 수익을 챙길 경우 심사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 27일 쟁글은 공지를 통해 “상장 심사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고, 상장 성공 명목으로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며 “떳떳하지 않은 부분이 없고 그 어떤 거래소에도 상장 로비를 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문제가 된 서비스는 쟁글의 '리스팅 매니지먼트(Listing magement)' 상품이다. 상장 심사를 위해 접수해야 하는 자료 작성 및 문서 검증, 근거 자료 실사를 바탕으로 감사 의견을 제출하는 서비스가 골자다. '토큰 유통량 계획 미비' 등 프로젝트 현황에 대한 부족한 부분을 객관적으로 의견 제시하는 컨설팅 서비스라는 것이 쟁글 측 주장이다.

쟁글은 지난해 디파이(탈중앙화금융) 서비스 열풍이 불면서 해외 디파이 프로젝트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 상장하기 어렵다는 측면을 고려해 해당 서비스를 출시했다.

쟁글 측은 “상품이 어떠한 형태로든 상장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며 고객들과 명확하게 커뮤니케이션해 왔다”며 “환불 조항은 서비스 극초기에 쟁글 감사의견 전달이 상장 심사 서류접수로도 이어지지 않는 경우 일부를 돌려주는 구조에서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쟁글에 따르면 해당 환불 조항이 존재했던 계약은 초기 6개 프로젝트 건에 해당한다. 상장 요구나 보증 등 서비스 범위를 벗어난 요구를 하는 프로젝트에 한해서는 환불 처리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 오해가 지속 제기된 측면을 고려, 이달 환불 제도 자체를 폐지했다.

논란은 민간 공시 플랫폼 공정성 문제로 번지고 있다. 쟁글은 사실상 국내에서 가상자산 평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를 포함한 시중은행도 쟁글의 가상자산 평가서를 부실 코인 여부 확인에 반영하겠다고 밝히는 등 힘을 실어주는 상황이다.

이달 28일부터 상장 코인 심사에 돌입한 가상자산거래소 코인원 역시 제출 대상 17개 서류 중 '쟁글 신용도 등급 리포트'를 포함시켰다. 이는 쟁글이 직·간접적으로 코인 상장 및 퇴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 코인 무더기 상장 폐지 문제처럼 민간 기업인 쟁글의 신용도 평가 기준도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수천만원 고액 상품을 사 주는 프로젝트에 우호적인 신용평가 결과가 몰릴 수 있으며, 이를 합리적으로 방지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