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에 다시 불거진 '빅테크 종속' 우려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체계 (자료=금융위원회)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체계 (자료=금융위원회)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위원회가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난색을 표하면서 오는 10월 서비스 일정에 제동이 걸렸다. 주요 은행들이 빅테크 플랫폼의 대출상품 공급업자로 종속될 수 있어 빅테크·핀테크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시중 대형은행과 중소·지방은행, 인터넷은행 간 입장도 엇갈리고 있어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에 난항이 예상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은 토스·카카오페이·뱅크샐러드 등 빅테크와 핀테크가 주도하는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사전 선호도 조사에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사실상 이들이 주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 소비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 여러 금융기관 대출금리를 한 눈에 비교하고 쉽게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 인프라다. 금융위원회가 올해 국민체감형 금융정책 중 하나로 내건 사업이다.

금융결제원이 오는 10월을 목표로 은행권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빅테크·핀테크의 금리비교 플랫폼과 연결해 금융소비자 대출금리 선택 폭을 넓히고 좀 더 쉽고 편리하게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은행권에서는 빅테크·핀테크 플랫폼에 지불해야 할 높은 수수료와 플랫폼 종속 우려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은행권 대환대출 플랫폼에는 참여할 의사가 있지만 빅테크 플랫폼과 연동할 경우 상당한 수수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된다는 입장이다.

빅테크 플랫폼이 간편결제 시장을 주도하면서 금융권에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대환대출까지 빅테크 중심으로 서비스하면 플랫폼 종속을 더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이미 카카오, 네이버 등 빅테크 기업이 지급결제를 비롯해 은행, 증권, 보험 등 다양한 금융분야로 빠르게 진출해 영향력을 키웠다. 여기에 더해 은행 주력사업 중 하나인 대출까지 빅테크 플랫폼이 중심이 되면 종속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중소·지방은행은 고객 접점을 확대할 수 있어 시중 대형은행 대비 플랫폼 참여에 큰 우려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터넷전문은행도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은행 간 입장 차도 해결해야 할 점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6일 오후 8개 은행, 금융결제원 등과 만나 직접 의견을 듣는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