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연구 석·박사 논문 증가... 사회과학·인문에서도 AI 연구 늘어

신기술 전공 인재 꾸준하게 증가
융복합 대세에 맞게 사회과학이나 인문 분야에서도 신기술 관련 논문 등장
수요에 맞게 학술생태계도 발전시켜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바람에 힘입어 이공계·인문사회 분야를 가리지 않고 석·박사들의 신기술 연구가 증가했다. 공학 계열은 물론 사회과학이나 인문학 분야에서도 신기술 주제가 늘어난 것이다. 교육계는 이 같은 수요 변화에 따른 학술생태계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정보기술(IT), 스마트산업, 전자장비기술, 바이오 환경' 등 4개 분야 21개 세부 주제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KERIS는 디지털 학술자원 유통체계 '디콜렉션'(dCollection)을 통해 국내외 논문을 수집·분석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서비스한다. 지난 2017~2020년 4년 동안 발행된 논문은 25만 477건이며, 이 가운데 5488건이 신기술 관련 4개 분야 관련 주제였다. 신기술 논문은 2017년 1237건, 2018년 1399건, 2019년 1452건, 2020년 1400건이었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논문 발표가 준 것을 감안하면 신기술 논문은 꾸준히 늘었다고 볼 수 있다.

4개 분야 가운데에서는 IT(4321건, 78.7%)가 압도했다. 바이오환경(674건, 12.3%), 전자 장비기술(406건, 7.4%), 스마트산업(87건, 1.6%) 등 연구도 추진됐다.

신기술 연구 석·박사 논문 증가... 사회과학·인문에서도 AI 연구 늘어

21개 세부 분야 가운데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분야는 AI다. 5488건의 논문 가운데 2053건으로, 약 37%를 차지했다. 그 뒤로 실감형콘텐츠(916건, 17%), 바이오(556건, 10%), 사물인터넷(IoT, 437건, 8%), 빅데이터(290건, 5.3%) 순이었다.

계열별 결과물을 보면 더욱 흥미롭다. 공학계열(3542건, 65%)이 아직 신기술 관련 연구에서는 주류를 차지하지만 사회과학계열(1480건, 27%)이 약진했다. 뒤를 이어 이학계열(261건, 5%), 인문계열(205건, 4%) 순으로 나타났다. 신기술은 공학계열 전유물이라고 생각해 온 것과 달리 사회과학계열과 인문학에서도 신기술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과학계열에서는 바이오(336건, 23%), AI(292건, 20%), 실감형콘텐츠(236건, 16%) 순으로 집계됐다. 인문계열에서는 AI(76건, 37%), 실감형콘텐츠(65건, 32%), 바이오(16건, 8%) 순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에서 AI를 주제로 한 논문은 '기술형 영어교육에 대한 중등 영어교사의 인식 연구: 신경망 번역기를 중심으로(한지은)' '사건 그래프, 인공신경망과 강화 학습을 이용한 이야기 생성(유재명)' '인공지능 스피커 특성에 따른 한국어 화자의 인식 및 발화 양상 연구(김승록)' 'AI시대 기독교 노인교육의 방향(박성일)' 등으로,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고 있음을 보여 줬다.

교육과 의학계열 등 기타 분야를 포함하면 신기술 관련 석·박사 학위 논문은 1만여건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KERIS는 설명했다.

석·박사 학위 논문은 전공 학생들이 2~5년 동안 연구한 결과물임과 동시에 해당 분야 전문가로서의 출발점이기도 하기 때문에 신기술 인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기술 분야는 새로 개척해야 하는 분야여서 학위 논문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데도 학생들의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혜자 KERIS 원장은 “국가 대표 연구정보서비스의 하나인 RISS를 통해 국내외 연구자들이 연구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학술 연구 생태계 기반을 지속 발전시켜 가겠다”고 밝혔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