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이 소상공인의 주요 매출 판로로 자리잡으면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정부 차원에서도 공공 배달앱 사용 실태를 들여다보고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한다.
소진공은 배달앱에 입점해 있는 음식점 및 주점업 소상공인 사업체 300개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배달특급, 배달의명수, 먹깨비 등 공공배달앱을 사용하는 사업체가 대상이다. 공공배달앱 입점 이유와 운영실태를 살펴 문제점을 개선하고 배달앱이 제공하는 상생협력사업을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다.
정부에서는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지원을 위해 공공배달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과 배달앱 운영업체에 마케팅비용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무인점포 사업 역시 공공배달앱과 연계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이뤄지고 있다.
소진공에서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민간 배달앱 플랫폼에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별점 리뷰에 따른 각종 부작용과 노출 알고리즘 방식 등을 살핀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민간배달앱에 비해 공공배달앱 취약점 등을 조사해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앞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민간 배달앱을 통해 발생하는 매출의 비중은 전체의 약 56.6%에 이른다. 배달료 부담 역시 45.8%는 소상공인이 직접 부담하고 있어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응답 소상공인의 63.2%는 민간 배달앱의 수수료와 광고비가 '과도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공 배달앱은 민간 배달앱보다는 비교적 수수료와 광고비 등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무료로 운영하는 공공배달앱도 적지 않다. 경기도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에서도 상생을 위해 저마다 지역 특화 공공배달앱을 도입하는 추세다.
다만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각 지자체 단위에서 운영되는 공공배달앱의 유지보수와 마케팅·홍보 등이 취약한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수도권과 달리 배달 대행 업체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도 공공배달앱 문제점 가운데 하나다.
지자체 관계자는 “배달플랫폼 내에서 주문을 연동하고 라이더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이 배달의민족 등 여타 민간 배달앱 대비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고민”이라면서 “지자체 단위의 조례 개정을 통해 일정 정도의 예산이 확보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진공에서는 실태조사를 거쳐 추가 지원 방안을 들여다 본다는 계획이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
류근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