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신경질환 치료 효율 높일 차세대 전기자극법 개발

뇌신경세포에 적은 자극으로 뇌신경 가소성을 조절한 뇌신경 전기 자극 기술
뇌졸중, 파킨슨병 완화 등을 위한 신경 자극 기술 등에 활용 기대

뇌 신경질환 치료 효율을 높일 차세대 전기자극법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문제일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최지웅 뇌공학융합연구센터장, 장재은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
뇌 신경질환 치료 효율을 높일 차세대 전기자극법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문제일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최지웅 뇌공학융합연구센터장, 장재은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최지웅 뇌공학융합연구센터장, 장재은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이 뇌신경 질환 치유를 위한 전기 자극 기술 및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뇌자극 치료 연구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미래 뇌신경 관련 기술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뇌 전기 자극법은 외부에서 가한 전기 자극을 통해 뉴런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기술이다. 현재 대부분의 뇌 전기 자극 연구는 인위적인 신경 활성화를 불러오는 역치 이상 자극이 주로 활용되는데, 이는 복잡한 뇌신경 네트워크 내에 원치 않은 영역까지 자극해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 지속적인 자극을 요하는 경우, 더 많은 배터리 용량이 요구되며 인체 내 배터리 교체를 위한 수술 횟수 증가 등 어려움이 있다.

역치이하 자극을 통한 뇌신경 활성화 조절 및 뇌가소성 조절 개요
역치이하 자극을 통한 뇌신경 활성화 조절 및 뇌가소성 조절 개요

공동연구팀은 뇌신경 활성화를 역치자극의 30%의 전력으로 자극하는 역치이하 신경 자극 기술(STES)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뇌신경 모델링을 기반으로 신경 자극 시뮬레이션과 동물 실험 검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안정성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뇌졸중의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신경 가소성을 유도하는 기술을 최초 개발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신경 활성에 필요한 전력보다 더 낮은 세기의 자극을 줌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렸고, 국소 부위만 자극함으로써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학습과 같은 인간의 고위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풍부한 기술로 평가된다.

최지웅 센터장은 “기존 강제적 신경 활성화가 아닌 시냅스 전단의 활성화를 증폭시켜 자연스러운 생리적 신경 활성을 유도해 더 적은 부작용과 적은 에너지 소모가 장점”이라며, “전자공학, 뇌과학 분야 전문가들의 융합 연구 결과로 기존 의료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뇌신경 자극 기술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정보통신융합전공 김경수 박사졸업생(현 캘리포니아대 신경학과 박사후연구원)과 뇌·인지과학전공 유승준 박사졸업생(현 독일막스플랑크연구소 박사후연구원)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DGIST 특성화지원 융합과학중점센터 사업 및 대구시 지원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