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선도도시 도약 '로봇테스트필드' 유치전 팽팽

대구, 경북과 단일화…인프라 보유 장점
충남, 대전·세종 참여 협력모델로 나서
부산, 에코델타시티 연계 계획서 제출
수도권 참여 전망에 편중 우려 목소리도
내달 6일 3000억 규모 최종부지 발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전국 주요 지자체가 국가로봇산업을 선도할 '국가로봇 테스트필드 혁신사업' 유치에 뛰어들었다.

국가로봇 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은 서비스로봇 시장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총 사업비가 국비 2300억원을 포함해 3000억원에 달한다.

각 지자체는 대형 국책사업 유치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경북도와 단일화를 이뤄 유치전에 뛰어든 상태다. 사업 전담 수행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대구에 위치해 로봇산업 관련 클러스터를 상당 부분 조성한 점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로봇산업클러스터, 이동식 협동 로봇 규제자유특구 등 관련 인프라를 보유한 점도 주목받는다.

충남도는 대전시와 세종시가 참여하는 광역 협력 모델로 유치에 나섰다. 스마트 제조, 첨단 바이오소재, 국방 등 다양한 산업 분포도를 보이는 지역 특성을 활용 로봇과 접목한 분야별 현장 테스트필드 최적지를 장점으로 꼽는다. 대전시가 보유한 연구 인프라와 세종시 배달·방역·보안순찰 서비스로봇 실증 수행 경험을 더해 중부권 미래산업 전초기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스마트시트 국가시범도시인 에코델타시티(EDC)를 조성하고 있는 부산시는 EDC와 연계한 로봇테스트필드 유치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경남마산로봇랜드, 제조로봇혁신센터 등 로봇 인프라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경남도도 주요 대상지로 꼽힌다.

다만 서울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자체가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돼 비수도권 유치 가능성은 안개속이다. 관련 연구기반이나 시설, 등 주요 요건이 지방 대비 규모가 큰 탓에 최근 K-바이오랩허브에 이어 대형 국책사업이 또다시 수도권에 편중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로봇 관련 인프라는 수도권 못지않게 지방 모두 고르게 분포돼 있다”며 “국가 균형발전을 고려한 부지 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서면 검토와 현장 및 발표평가를 거쳐 내달 6일 최종부지가 선정될 예정이다.

세종=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