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토스 등 핀테크 주도 대환대출 플랫폼을 두고 금융권 불협화음이 지속하는 가운데 저축은행업계도 업권 자체 플랫폼을 별도로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은행, 핀테크에 우량 고객을 빼앗겨 업권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형 저축은행 등을 중심으로 업권 자체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개별사 의견이 취합되면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금융당국에 의견을 개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저축은행 고위 관계자는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우 핀테크 주도로 이뤄지고 있고, 은행 등 참여 가능성이 커 저축은행이 종속될 우려가 크다”면서 “현재 추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 외에 업권 자체 플랫폼 구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소비자가 여러 대출상품을 한눈에 비교하고 금융기관 방문 없이 기존 대출을 보다 유리한 조건 대출로 비대면·원스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금융당국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이 유리한 대출로 이동해 상환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했지만, 최근 핀테크 주도 플랫폼 구축 관련 금융권 우려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자체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논의에 나선 것은 업권 경쟁력 악화 우려다. 시중은행 대비 금리경쟁력이 낮고 핀테크와 비교하면 접근성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들이 포진한 플랫폼 내에서 저축은행 우량 고객 이탈이 잇따를 가능성이 크다.
다만 대환대출 플랫폼 불참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들은 현재 금융결제원이 만드는 플랫폼과 별도로 업권 자체 플랫폼 구축을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환대출 플랫폼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 추가 별도 플랫폼의 경우 비용부담이 크지 않다는 이유다. 게다가 금융당국 역점 사업인 만큼 불참이 쉽지 않다는 것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대환대출이라는 것이 높은 금리에서 낮은 금리로 이동하는 것인데 저축은행과 시중은행이 붙으면 우리가 이길 수 있게냐”면서 “업권간 경쟁을 통해 금리를 낮추는 선순환이 가능한 자체 대환대출 플랫폼쪽으로 업계 의견이 모아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
-
박윤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