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단기간에 양자 기술과 산업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양자 기술 개발 컨트롤타워 '양자 특별위원회(가칭)'를 발족한다.
기술 개발 로드맵, 정부·민간 역할 분담 등 전략을 수립하고, 민·관 역량을 결집해 선도국과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는 게 목표다.
과학기술자문회의는 이르면 다음 달 과기자문회의 심의회의를 개최, 양자 특위 구성을 위한 세칙을 개정한다. 양자 특위는 과기자문회의 심의회의 안에 설립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7개 안팎의 부처와 민간 기업 전문가 중심의 총 25명 이내로 구성될 계획이다. 특위 구성·운영 관련 실무는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맡는다.
양자 특위는 사실상 범부처 양자 산업 관련 컨트롤타워다. 양자컴퓨터, 양자 암호통신 등 핵심 분야의 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 세부 투자 방향과 연계하고 민·관 역할 분담 전략 등을 수립한다.
정부가 전략적으로 주목하는 분야는 양자컴퓨터다.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 파급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세계 각국이 전략 기술로 지정하고 투자를 이어 가고 있다. 인사이드 퀀텀 테크놀로지는 글로벌 양자컴퓨팅 시장이 오는 2025년 7억8000만달러에서 2029년에는 26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양자 특위를 구성하기로 한 것은 '추격형' 전략 구사가 불가피한 상황이 반영됐다.
우리나라는 양자 관련 기술 개발에 늦게 뛰어든 데다 투자 규모도 선도국 대비 부족한 상황이다. 양자컴퓨터 분야는 2023년까지 435억원을 투자한다. 상용화에 필요한 양자 프로세서, 알고리즘, 오류 보정, 응용 소프트웨어(SW) 등 4대 핵심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2024년까지 50큐비트급 한국형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조기 구축해서 단계적으로 고도화한다.
글로벌 추세와 비교하면 기술 개발 추이 및 투자 규모에서 열세다. 미국은 IBM이 1000큐비트의 양자컴퓨터를 수년 내에 구현하겠다고 발표했고, 구글도 2029년까지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선포했다. 중국은 양자 기술 개발에 17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힌 뒤 중국과기대가 지난 5월 미국에 근접한 62큐비트 초전도 양자컴퓨터 개발에 성공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캐나다, 일본 등도 전략 기술로 지정하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보다 앞서 산·학·연 중심의 미래양자융합포럼이 출범했지만 예산 집행 등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선 정부 주도의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반영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30일 “우리나라 양자 관련 연구개발(R&D)이 선도국 대비 약 5년 늦게 시작됐다”면서 “올해 수립한 양자 R&D 투자 방향 이후 전략과 대응 등 정부 추동력을 높이기 위해 특위의 필요성이 대두됐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과기자문회의 고위 관계자는 “부처 간, 부처·기업 간 역할 분담과 투자 방안 등 세부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면서 “특위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과기자문회의, 내달께 심의회의 개최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