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일관계가 정상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임기 마지막 광복절 메시지를 통해 한일관계가 미래 지향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복절 메시지를 통해 광복 직후 국내 체류 중인 일본인에 대해, 복수가 아닌 포용을 선택한 우리 선조 모습을 언급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식민지배 굴욕과 차별, 폭력과 착취를 겪고서도 우리 선조들은 해방 공간에서 일본인들에 대한 복수 대신 포용을 선택했다”고 했다. 그동안의 강경한 대일관계와는 다른 기조였다.
한일 양국간 현안은 물론 코로나19와 기후위기 등 세계가 직면한 위협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전인 지난 3월 청와대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을 접견하고 한일관계 복원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정부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 출범 이후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이유는 미국이 한미일 공조에 공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상에 참여하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 읽힌다.
다만 스가 일본 정부가 반응하지 않으면서 답보된 상태다. 일본은 여전히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이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간 만남이 예정됐다 돌연 취소된 것도 일본이 막판 독도 문제를 끄집어냈기 때문이다.
정부는 도쿄올림픽 개막식 참석과 정상회담을 통해 다시 관계를 풀어내려 했다. 수출규제 정상화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원상 복귀를 제시했지만 일본이 거절했다. 주한 일본 대사관 고위관계자가 문 대통령을 언급하며 막말을 하는 일도 일어났다.
그럼에도 정부는 여전히 한일관계가 개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음달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릴 G20 정상회의에서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질 수도 있다. 하반기 개최될 가능성이 있는 한중일 정상회의도 관건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일 양국 관계 등을 고려하면서 다양한 합리적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해 나가면서 일본 측과 긴밀히 협의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