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자율주행차가 반도체, 배터리, 백신과 함께 '국가전략기술'에 포함돼야한다고 주장했다.
15일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장은 온라인으로 열린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지난 6월 발표한 국가전략기술에 자율차 등 미래차 핵심기술이 제외된 것은 문제”라며 “기술 개발 불확실성이 있는 자율차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기업들의 투자 지속을 위해 국가전략기술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 6월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합동브리핑에서 '국가핵심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하며 그 기술로 반도체·배터리·백신을 들었다.
정 회장은 “미래경쟁력을 좌우할 자율주행차의 경우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정보기술(IT)과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2025년엔 4단계 자율차인 로보택시 상용화가 전망되는 등 미국과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국가·기업 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에서 적극적 지원이 있는 미국과 중국에서 구글 등 빅테크 기업과 GM, 현대 등 완성차 기업들이 2018년부터 로보 택시를 개발 중이고, 중국 바이두는 2023년부터는 30개 도시에서 로보택시 3000대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국내도 경쟁국 대비 동등한 여건 조성으로 우리나라가 미래 자율주행차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세제, 인력양성, 규제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정 회장은 자율주행차 핵심 역량인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인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취업비자 및 영주권 부여,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국내 수요 기업과의 매칭 지원 등을 통해 AI 고급인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은 자동차를 넘어 다양한 모빌리티 디바이스로 확산될 수 있고, 이는 로봇·중장비·농기계·전술무기·UAM 등의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스마트 역량이 출중해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에서 월등히 빠른 추격으로 시장을 선점했듯이, 자율주행도 속도를 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문식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센터장은 “자율주행은 다양한 산업의 융합 기술이 필요한 분야로서, 다종의 차량 플랫폼, 고성능 AI 컴퓨팅 모듈 및 아키텍처, 안전제어기술 및 복잡한 주행 시나리오 대응하기 위한 평가기술과 신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이 필요함에 따라 국가 차원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