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디지털전환에 나선다. 그간 중앙회가 일선 중소기업과 중소기업협동조합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비정형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데이터 기반의 중소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에 이어 유관 협단체까지 데이터 기반 정책 제공이 확산하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중앙회는 조만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컨설팅을 받기로 했다. 이달 중 컨설팅을 담당할 전문 기관을 선정한다.
중기중앙회가 생산해 온 각종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 서비스 개발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중기중앙회는 컨설팅을 통해 그간 중소기업과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중소기업 무역구제 △공공구매 지원 △외국인력 고용허가서 발급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등 각종 정책 사업의 데이터 관리 체계를 우선 구축한다. 특히 중기중앙회가 현재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용정보·평가업무, 리스크 관리 등 신규 서비스 모델에 중앙회가 보유한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필 계획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정책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어느 정도일지를 우선 확인하는 단계”라면서 “정확한 활용 방향과 응용정도는 컨설팅 이후에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분야는 다른 주요 정책 영역 가운데서도 유독 통계와 데이터가 부족했던 분야로 꼽힌다. 기업경영 통계와 중소기업 경기상황의 격차가 클 뿐만 아니라 신뢰도도 높지 않다. 대·중소기업간 원·하청 관계로 인해 후행적 경기 사이클이 발생하고 동일 업종 내에서도 경기를 체감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아직 데이터 확보가 더딘 만큼 향후 활용 예상 범위도 넓다. 특히 지난 5월에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도 중소기업 통계의 속보성 보완부터 중소기업 경기상황판 구축, 중소기업 중심의 경기지표 개발 등 '데이터 기반의 중소기업 중심 지원체계 마련'을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민관의 흩어진 데이터를 활용해 중소기업 기본통계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보완하고, 데이터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부처와의 협업도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와 주요 산하기관에서는 데이터 기반 행정체계를 구축하는 데 한창이다. 중소기업 국가 통계 작성부터 실질 경기지표까지 대부분의 중소기업 관련 데이터 확보를 중소기업중앙회 등 민간단체와 협업해야 하는 만큼 민관의 데이터 연동이 이뤄질 전망이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