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 연설에서도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북한이 고립하지 않도록 국제사회가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남북·북미관계가 경색된데다,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무시하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가운데 이뤄진 연설이라 북한과 국제사회가 반응할지는 미지수다.
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6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에서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되었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한다”고 말했다.
국제사회를 향해서도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해 힘을 모아주실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종전선언을 이뤄낼 때 비핵화의 불가역적 진전과 함께 완전한 평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도움을 요청했다.
북한에는 “지구공동체 시대에 맞는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며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조속한 추진,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등을 통한 감염병·자연재해 대응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작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를 여는 문”이라며 종전선언을 제안한 바 있다. 다만 올해 연설에선 종전선언 주체를 한국전쟁 당사국인 '남북미' '남북미중'으로 구체화했다.
문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다시 꺼내든 이유는 정권 최대 현안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즉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완성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선 끝나지 않은 한국전쟁의 종식부터 이뤄져야 한다는게 문 대통령 생각이다. 6·25로 통칭되는 한국전쟁은 현재 정전상태다.
문 대통령은 취임 두 달 후인 2017년 7월 독일 베를린에서 신(新)베를린 선언을 통해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종전과 함께 관련국이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이 주변국들과 함께 협력할 때 한반도에 평화를 확고하게 정착시키고 동북아 전체의 번영에 기여할 것이고, 훗날 협력으로 평화를 이룬 '한반도 모델'이라 불릴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한국과 함께 북한에게 끊임없는 협력의 손길을 내밀어 주길 기대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평화의 시작은 언제나 대화와 협력으로, 남북 간, 북미 간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한다. 상생과 협력의 한반도를 위해 남은 임기 동안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