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서울국제 전력시장 컨퍼런스 개최…"재생에너지 급격 확대, 전력시장 개편도 빨라져야"

노재형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8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7회 서울국제 전력시장 컨퍼런스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시장 대응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노재형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8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7회 서울국제 전력시장 컨퍼런스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시장 대응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급격한 확대에 따라 전력시장도 빠르게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에너지저장장치(ESS)나 가상발전소(VPP) 등 유연성 자원을 활용하도록 하고, 전력계통 신뢰도를 위해서는 노후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기에 대해서도 적절한 보상 방안 등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궁극적으로는 비용기반시장(CBP·Cost Based Pool)을 가격입찰제(PBP·Price Bidding Pool)로 전환하는 등 대대적인 전력도매시장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노재형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8일 서울 강남구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 전력시장 컨퍼런스'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전력도매시장 개편도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를 빠르게 확대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재생에너지는 특유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전력계통에 부담을 준다. 재생에너지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예비력을 필요로 하고, ESS·VPP 같은 유연성 자원이 확대돼야 한다.

노 교수는 유연성 자원을 가장 저렴하게 확보하고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보상이 확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현재 전력도매시장은 전통 발전기만 참여할 수 있는 시장”이라면서 “재생에너지나 ESS, VPP가 시장에 들어와 활동할 수 있도록 (전력도매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력계통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석탄발전기와 LNG 발전기에 대한 보상도 분명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노 교수는 “노후 석탄발전기나 LNG 발전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을 수 있고, 계통 신뢰도를 위해서 거기에 대해서 보상을 해줘야 한다”면서 “용량 시장도 계획과 가격의 일관성을 위해 시간과 지역 차원에서 세분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전력거래소는 현재 전력도매시장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전력도매시장 개편방안을 적용할 계획이다.

노 교수는 최대한 구체적이면서 빠르게 전력도매시장을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용기반시장(CBP)을 가격입찰제(PBP)로 전환하고, 정산조정계수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해서도 재논의가 필요하는 등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재생에너지가 계속 늘어나고 부하 변동성이 커지면서 시장을 개편하지 않으면 궁극적으로는 정전을 겪게 될 것이고, 정전을 겪지 않아도 아주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면서 “가능한 빨리 전력시장 구조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정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