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로 변동성 커져…전력시장 근본적 개편 시급"

전력거래소 '서울국제전략시장 콘퍼런스'
비용 기반서 '가격입찰제'로 전환하고
ESS·VPP 보상체계 마련해 시장 유입
탄소중립 위한 전력수요 활용 방안 필요

한국전력거래소는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전력시장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가운데)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했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전력시장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가운데)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했다.

에너지 전문가들이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의 급격한 확대에 따라 전력시장을 빠르게 개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30년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 이상 감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시장 대응이 시급하다. 20년 동안 이어온 '비용기반시장(CBP:Cost Based Pool)'을 '가격입찰제(PBP:Price Bidding Pool)'로 전환하는 근본적 변화와 함께 에너지저장장치(ESS)·가상발전소(VPP) 등 유연성 자원 활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에너지 전문가들은 지난 8일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전력시장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노형욱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최대한 구체적이면서 빠르게 전력도매시장을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력시장을 CBP에서 PBP로 전환하는 등 대대적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노 교수는 “재생에너지가 계속 늘어나고 부하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시장을 개편하지 않으면 궁극적으로 정전을 겪게 될 것”이라면서 “가능한 빨리 전력시장 구조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정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전력시장에서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보상이 확실해야 한다고도 했다.

노 교수는 “ESS, VPP가 시장에 들어와 활동하도록 (전력도매시장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노후 석탄발전기나 LNG 발전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계통 신뢰도를 위해서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설비 투자와 함께 수요를 자유롭게 활용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주성관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에너지 양으로 추정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태양광이 400~500GW, 풍력은 50GW로 추정된다”면서 “전력수요 감축만 고려하지만 수요 증대도 고려해야 한다. 전기차 충전이나 '섹터 커플링(sector coupling)' 등이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화력발전 중심의 현재 전력도매시장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승완 충남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더 이상 재생에너지는 보조전원이 아니며, 한계비용만을 기본으로 하는 현재 전력시장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이제 (전력) 저장이라는 개념을 이어 보조수단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해외 사례도 소개됐다. 조지프 히로시 에토(Joseph Hiroshi Eto) 미국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수석고문, 마이클 폴리(Michael Polllitt) 케임브리지대 교수, 줄리언 레슬리(Julian Leslie) 내셔널그리드 처장이 유럽과 영국의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 대응 방안을 소개했다.

전력거래소는 이번 콘퍼런스를 바탕으로 향후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전력시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최근 국내외 전력산업 환경은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이라는 가치 아래 사회·경제적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전력거래소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든든한 파트너가 되도록 늘 혁신하고 부단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