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는 민·관 협력 산물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 개발 과정에서 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체 역량 강화에 심혈을 기울였다.
누리호 체계총조립, 엔진조립, 각종 구성품 제작 등 기술 협력을 통해 산업체 역량을 강화하고, 점진적으로 민간 기업 역할을 확대해 향후 발사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누리호 개발에는 300여개 기업이 참여, 독자 개발에 필요한 핵심부품 개발과 제작을 수행했다. 주력 참여 30여개 기업에서만 약 500명 인력이 동원됐다. 개발 초기, 설계단계부터 산·연 공동설계센터를 구축, 산업체 기술 향상을 도모했다. 산업체의 보유기술, 인력 및 인프라 등을 지속적으로 활용했고 총 사업비의 약 80%인 약 1조5000원을 산업체에서 집행하도록 했다.
한국항공우주사업(KAI)은 300여개 기업이 만든 부품 조립을 총괄하는 동시에 추진제 탱크를 제작했다. KAI가 제작한 추진제 탱크는 두께가 일반 탱크보다 얇으면서도 영하 200도에서도 기능을 유지한다. KAI는 '뉴 스페이스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하고 경남 사천에 우주 기술 개발을 위한 민간 우주센터를 건설하는 등 우주 개발 기업으로 본격 행보에 나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에 들어간 1단과 2단에 75톤급 엔진 5기, 3단 7톤급 엔진 1기 등 총 6개 엔진을 공급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엔진 생산과 각종 검증 작업을 진행했으며 누리호의 터보펌프, 밸브류 제작과 액체엔진 체계조립도 함께 맡았다.
현대중공업은 지상 발사대와 초록색 구조물 엄빌리컬 타워를 제작했다. 발사대는 2016년부터 약 4년 6개월에 걸쳐 제작됐다. 엄빌리컬 타워는 48m 높이로 발사체에 산화제와 추진제, 전기를 공급하는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로템은 누리호 연소 시험을 진행했고 이노컴, 에스앤케이항공 등 우주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도 누리호 사업에 동참했다.
정부는 반복 발사를 통해 누리호 신뢰성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기업에 핵심 기술을 이전한다는 복안이다. 국내에 종합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참여기업이 성장해 자생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