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채가 경제 성장에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학계에 따르면 김성순 단국대 명예교수는 오는 29일~30일 열리는 재정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국가부채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논문은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GDP 대비 정부와 민간의 소비 투자지출, 인플레이션율 등 통계청과 한국은행의 1980~2020년 연간 자료를 바탕으로 거시지표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기적으로는 정부소비지출의 추정계수가 4.23으로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가부채도 0.66의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민간소비(-0.97)와 인플레이션(-0.32)은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국가부채(-1.16)는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투자지출(-1.40)과 인플레이션(-0.22)도 부정적 영향이 있었다.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적자본과 관련된 평균교육연수(2.24), 정부소비지출(1.60), 민간투자(0.22), 민간소비(0.09)였다.
김 교수는 “국가부채는 단기적으로는 성장에 긍정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가장 큰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국가부채를 경제 성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정책적 요소로 민감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경제 상황을 비춰볼 때 재정지출 확대가 필요하고 이로 인한 국가부채 증가가 불가피하지만 미래세대로의 경제 부담 전가와 성장 잠재력 훼손 등을 유의하며 효율성을 고려한 재정의 배정과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