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는 디지털 경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기업 위기와 업무환경 변화 등에 대응 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비대면 상황에서도 재택근무나 온라인 교육 등 경제·사회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트래픽 급증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향후 3년 동안 유지될 국가 클라우드 발전 방향인 '제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 소프트웨어(SW)산업 클라우드 전환 및 전 산업 디지털전환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데이터·인공지능(AI)을 뒷받침할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이다.
특히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활용' 정책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는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고려하겠다는 것으로, 클라우드 기업 입장에서는 매우 환영할 일이다.
해외에서는 중앙정부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사용,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이용 우선, 영역 구분 없는 클라우드 이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2018년 클라우드 스마트 전략을 발표했다. 민간의 고품질·첨단 서비스로 공공서비스 혁신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웹서비스(AWS), IBM, 구글 등 민간 기술 역량을 공공으로 흡수하겠다는 전략이다.
영국은 2017년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을 선언했다. 영국은 2009년 당시 공공 정보기술(IT) 사업 참여 기업이 런던 주변에 12개사에 불과했지만 올해 5월 기준 영국 전역에서 5224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는 클라우드컴퓨팅법 제정 이후 공공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과 민간 클라우드 이용 촉진을 5년 동안 추진했다. 그러나 규제 등으로 한계가 있었다. 이번 클라우드 3차 기본계획에서도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활용' 정책이 수립됐지만 비밀·안보·수사·내부 업무는 제외됐다.
국내에서도 내부업무 시스템의 민간 클라우드 허용을 필수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만약 내부업무 시스템의 민간 클라우드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활용' 정책도 반쪽짜리 정책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국내도 공공기관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을 위한 클라우드 보안인증(CASP)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선제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민간도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활용' 정책에 대응할 준비가 됐다는 생각이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는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정부·학계·산업체 간의 포괄적 협력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핵심인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통해 국가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 강화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협회도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에 따라 공공시장 활성화 및 공정경쟁 기반 마련을 위해 산·학·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 기반 마련, 안전한 클라우드 이용 기반 조성, 클라우드 협의체 운영 및 활성화, 대국민 클라우드 홍보 및 인식 확산, 국내 기술 경쟁력 확보 지원 등 업무를 제3차 기본계획에 맞춰 세분화할 계획이다.
3차 기본계획을 통해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이 꼭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이 해외기업과 견줘도 손색없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범국가적으로 클라우드 선진국 달성을 위해 함께 매진해야 할 때다.
송재호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 jae-ho.song@kt.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