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코를 통해 뇌-신경계 질환치료가 가능한 마이크로로봇 개발

줄기세포 기반 마이크로로봇 개발 및 후각경로 통해 뇌 최소 침습 전달 성공
알츠하이머, 파킨슨, 뇌종양 등 난치성 뇌신경계 질환 치료 새로운 가능성

코를 통해 뇌-신경계 질환치료가 가능한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 전성웅 박사
코를 통해 뇌-신경계 질환치료가 가능한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 전성웅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이 DGIST-ETH 마이크로로봇 연구센터 김진영 선임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김성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줄기세포 치료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 및 후각경로를 통한 최소 침습 뇌 내 치료제 전달방법'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 제작 및 신경세포 분화 관련 이미지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 제작 및 신경세포 분화 관련 이미지

연구팀은 또 개발한 줄기세포 기반 마이크로로봇을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우회하는 후각경로를 통해 뇌에 생착시키는데도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수술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해 향후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종양 등 다양한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자성 마이크로로봇의 배아 쥐 마이크로 뇌오가노이드 생착 체외 실험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자성 마이크로로봇의 배아 쥐 마이크로 뇌오가노이드 생착 체외 실험

줄기세포 치료는 체내 깊숙한 환부나 치료가 위험한 신체부위에 줄기세포를 정확히 전달해야한다. 하지만 전달 도중 체내 유실되는 양이 많아 치료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에 비해 치료비용도 비싸다. 특히, 혈액을 통해 뇌 속으로 줄기세포를 전달할 때, 뇌혈관의 특수한 부분인 '혈액-뇌 장벽' 때문에 세포전달 효율이 떨어진다.

쥐의 후각경로로뇌 내 사람유래 줄기세포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전달 및 이송 결과
쥐의 후각경로로뇌 내 사람유래 줄기세포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전달 및 이송 결과

연구팀은 외부 자기장을 이용해 사람 몸속에서 자유자재로 제어가 가능한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이를 위해 생체적합성이 높고 초상자성을 갖는 산화철 나노입자를 사람 코 하비갑개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에 내재화시켜 마이크로로봇을 제작했다.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은 외부 회전 자기장에 의한 회전구름운동과 자기장 구배에 의한 병진운동을 할 수 있어 체내 다양한 생리학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외부 자기장을 이용해 마이크로로봇을 미세유체채널 내에서 무선으로 제어, 목표지점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새롭게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의 안정적인 뇌 조직 생착 여부도 연구를 통해 검증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쥐의 혈액-뇌장벽을 우회한 후각경로를 통해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을 주입, 외부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뇌 조직 내 마이크로로봇을 이동시켜 대뇌 피질에 정밀하게 도달해 생착시키는데 성공했다.

최홍수 교수는 “후각경로를 통해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줄기세포의 정밀하고 안전한 전달이 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종양 등 다양한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과학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즈'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