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월 1일부터 위드코로나 1단계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월부터 시작해 거의 2년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을 서서히 종식시키고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코로나19는 자영업자 등의 생업을 위협했을 뿐만 아니라 학교와 사회 전반을 크게 위협했다. 교육 분야는 교수자와 학생이 비대면 수업에 익숙해지면서 오히려 대면수업을 꺼리는 분위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코로나19 덕분에(?) 학교가 비대면 수업으로 대응하면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도 발견하는 나름대로의 소득도 있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위협으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국민에게 필요한 정서적 안정과 내일을 위한 준비에 얼마나마 기여한 것이 평생학습도시라고 불리는 도시 단위의 평생학습관과 평생학습센터에서의 학습 활동이었다. 평생교육기관에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방역에 힘쓰면서 프로그램을 운영한 평생교육사를 비롯한 평생교육 관계자와 학습자 모두 고생이 많았고, 이제 마음껏 배움의 날개를 다시 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평생학습도시는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교육부에서 조성사업을 시작하면서 출발, 2021년 11월 현재 전국에 180개 시·군·구가 지정받았다. 이는 전국 226개 시·군·구 가운데 79.6%에 해당하는 규모다.
평생학습도시는 도시 전체가 배움을 토대로 엮어진 생활세계다. 평생학습도시는 학습만을 따로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다. 교육·문화·여가·복지·산업·일자리 등이 함께 어우러져 있고, 이것이 학습으로 엮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유네스코에서 정의하는 학습도시 개념은 기초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의 포용적 학습,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모든 학습, 직업을 위한 학습, 최신 기술, 삶의 질, 수월성 등 폭넓게 정의하고 있다.
평생학습도시는 도시에 있는 모든 교육 기회, 공간, 자원을 교육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행정조직으로 평생학습전담 조직과 부서를 설치하고 전담자를 배치해도 제대로 추진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자치단체장을 비롯한 도시 내 모든 행정조직과 주민이 함께할 때 비로소 실현이 가능하다. 평생교육은 평생교육 전담 부서만의 실적이 아니다. 평생교육 범위는 도시 전체 관점에서 파악해야 제대로 접근이 가능하다. 예산, 인력, 조직 등 모든 수준에서 협업을 끌어낼 수 있는 도시의 자원 활용 역량이 필요하다. 이의 달성은 자치단체장의 관심 없인 불가능하다. 또 시·군·구 의회가 돕지 않으면 역시 불가능한 일이다. 평생교육 전담 부서와 전담자만 나선다고 달성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도시 내 평생교육은 나무만 보지 말고 도시라는 큰 숲을 봐야 한다. 지역 내 일자리 및 취약계층과 관련한 평생교육 업무는 타부서와의 협업이 절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 전담 부서의 역할과 프로그램을 어떻게 가져갈 것이냐는 고민이 필요하다.
최근 평생교육법 및 국민평생직업능력개발법 개정으로 국민 누구나 평생교육바우처와 국민내일배움카드를 신청하고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학습비 지원이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평생교육은 정부 부처의 사업이나 정책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 삶, 라이프(Life)가 돼야 할 것이다. 도시·마을·골목 단위에서 항상 배우고(학, 學) 익히는(습, 習) 평생학습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가 제시한 학습의 4가지 기둥, 즉 '알기 위한 학습' '실천하기 위한 학습'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학습' '자아실현을 위한 학습'이 맘껏 실현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김현수 순천향대 평생교육학부 교수 hskim5724@sch.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