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요소수 품귀로 인한 물류대란 가능성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빠르면 다음 주부터 산업용 요소수 재고물량을 차량용으로 전환·공급한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요소 수출검사 의무화 조치를 지속할 수 있어 수입 루트 다변화 및 핵심 소재 국산화 등 중장기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환경부는 산업용 요소수의 차량용 전환 가능성에 대해 기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현재 국내서 운행 중인 디젤 화물차 330만대 중 60%인 200만대 정도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가 장착됐다. 이들 차량에 요소수가 없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주행 중 설 수도 있다. 물류대란 가능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환경부는 지난 3일 차량용 요소수 매점매석을 엄중 단속하겠다고 선언했다. 매점매석 적발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진다. 정부의 강력 단속 방침에도 불구하고 물류현장에서는 불안감이 고조됐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이달 중순도 늦다”면서 “매점매석 단속을 하루라도 빨리 앞당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를 비롯해 유관 부처는 요소수 수급을 위해 적극 대응한다. 산업부는 4일 환경부, 기재부, 외교부, KOTRA 등 부처와 산업용 요소수를 수입하는 민간기업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중국 외 수입국에서도 요소수 수입을 다변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수입국 다변화를 위해 외교부, 산업부, KOTRA, 관세청 등 관계부처와 기관이 협조하겠다”면서 “업계 건의사항에 대해 기재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 같은 대책이 미봉책에 그칠 것으로 우려한다. 산업용 요소수 재고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더라도 수개월 뒤면 소진되는 만큼 중국산 수입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장기적으로 주요 소재의 국내 생산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요소를 생산했던 롯데정밀화학은 2014년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려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국산화 및 공급망 다변화 이슈가 미·중 갈등으로 인한 중국산 수입품에서 재연되고 있다”면서 “요소는 석탄과 생산시설만 있으면 생산 자체는 어렵지 않아 정부 차원에서 핵심 원료인 요소 생산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