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원자력 발전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박주헌 동덕여대 교수에게 의뢰한 '탄소중립 새로운 에너지정책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현재 풍력은 연간 200㎿ 내외, 태양광은 연간 4GW 정도가 보급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용량인 50GW를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라며 “약 60GW의 추가 증설이 요구되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계획상 재생에너지 30.2% 달성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탈원전 기조에서 무탄소 전력 생산계획은 태양광 위주로 갈 수밖에 없어 전기요금을 2배 이상으로 대폭 인상해야 하고, 발전시설 설치면적 확보와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에 막대한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현재로는 원전을 최대한 안전하게 적정 수준으로 사용하면서 탄소중립에 대처하는 길이 유일해 보인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에너지믹스에서 태양광 비중을 50%에서 30%로, 풍력 비중을 15%에서 8%로 줄이고 원자력 비중을 10%에서 40%로 늘리면 전력 과부족 변동 폭이 축소됨에 따라 ESS 필요 용량이 3471GWh에서 1983GWh로 감소, ESS 설치비용이 약 600조원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실적으로 NDC 달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가 원전의 수명연장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탈원전 정책으로 2030년까지 폐로가 예정되어 있는 원전을 계속 운전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언급했다.
2030년까지 폐로 예정된 원전은 10기이고 총용량은 8.45GW에 이른다. 이 원전을 폐로하지 않고 계속 운전할 경우, 태양광 45.1GW 혹은 풍력 29.4GW의 설비 용량을 줄일 수 있다. 태양광과 풍력의 추가 설비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어야 2030년 NDC 달성 확률이 그나마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