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무선전력용 초소형 다중안테나시스템 개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장재은·최지웅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팀이 무선전력 및 신호 송수신용 초소형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개발 했다고 17일 밝혔다. 여러 개의 마이크로 사이즈 소형 안테나가 간섭 없이 작동해 향후 마이크로 로봇이나 뇌-기계 연결 기술에 활용될 전망이다.

장재은 교수(뒤쪽)와 전병옥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박사과정생
장재은 교수(뒤쪽)와 전병옥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박사과정생

최근 대부분 전자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돼 있다. 기기 소형화로 무선연결 핵심 부품인 안테나 소형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안테나를 소형화 할수록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무선 주파수를 연결할때 반사를 줄여 연결을 원할하게 해주는 RF매칭 기술이 어렵기때문이다.

다중마이크로 안테나 기반 뇌-기계 연결 시스템 개념도
다중마이크로 안테나 기반 뇌-기계 연결 시스템 개념도

교수팀은 초소형 마이크로사이즈의 안테나 개발과 더불어 초소형 크기특성의 응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 안테나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형태적으로 다른 플로팅 안테나를 적층형의 이중층으로 형성하는 기술을 개발해 안테나 간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증가 시켰다.

무선전력 및 신호 송수신용 초소형 다중 안테나 시스템 개념도
무선전력 및 신호 송수신용 초소형 다중 안테나 시스템 개념도

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안테나는 1~7㎓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마이크로 사이즈 안테나 중 가장 높은 효율인 1%~7% 전송효율을 달성했다. 또 기존 복잡하면서 큰 면적을 차지하는 RF매칭회로를 제거해 전체 시스템 구조를 극소화 했다.

마이크로 사이즈 안테나는 미래 사회 기술에 많이 등장하는 마이크로 로봇 개발의 필수기술이며, 최근 각광받고 있는 뇌-기계 연결기술에서 독립적인 무선 마이크로 전극 구조 등에 적용가능하다. 또 디스플레이에서 구동 전극이 없는 무선화소 설계가 가능해 유연 기기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장재은 교수는 “기존 무선기기뿐만 아니라, 최근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전가기기가 실용화 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의 성과는 관련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지인 '어드벤스드 사이언스'에 온라인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