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당장 내년부터 1조원이 넘는 R&D 예산을 탄소중립에 투입하고, 대형 사업 추진을 위해 7조원이 넘는 대규모 예비타당성 사업도 준비한다. 산업계 요구를 받아들인 '산업대전환 비전과 전략 기본방향'을 올해 안에 제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전략'을 발표했다. R&D전략은 2030년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기술을 제시하고 우리 산업 및 에너지 구조의 탈탄소화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산업부는 오는 2023년 이후 R&D 예산의 30% 이상을 탄소중립에 투자한다. 내년도 예산은 1조2000억원 규모로 올해(8200억원)보다 50% 가까이 늘어난다. 향후 예타 조사를 받아야 하는 대형 탄소중립 R&D 사업을 7조원 이상 규모로 추진한다. 올해와 내년 총 5개 탄소중립 예타 사업을 신청할 계획이다.
2023년부터 2030년까지 6조7000억원(예타안)을 투자하는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산업 저탄소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산업현장 공정·설비 혁신, 탈탄소 산업구조로 전환 등이 핵심 목표다. 지난 9월 예타를 신청했고,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같은 기간 9500억원을 투자하는 '동해가스전 탄소포집·저장(CCS) 실증' 사업도 올해 안에 예타를 신청한다. 이 사업은 CCS 전 주기 기술 고도화가 목적이다. 이 외에 '범부처 탄소 포집·활용(CCU) 조기 상용화' '그린수소 개발' '탄소중립 대학거점센터' 등 예타 사업을 기획한다.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R&D 17대 중점분야 핵심기술도 개발한다. 2030년 NDC 달성 기술, 2050 탄소중립 실현 기술로 구분해 단계별 개발 일정을 제시했다. 에너지 분야는 발전용 수소 혼소(50%), 분산전원용 수소 전소(100%) 가스터빈기술 등 청정연료 기반 무탄소 발전기술 등을 개발한다. 산업 분야는 철강 코크스 소비열량 저감 무탄소 연료 등을 만든다. 공통 분야는 재생자원의 산업원료·소재화 등 자원순환 기술,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이번 전략을 과학기술혁신본부 주관으로 수립하는 범부처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에도 반영한다.
대한상의 등 산업계 목소리를 바탕으로 올해 안에 '산업대전환 비전과 전략 기본방향'을 발표한다. 이날 대한상의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4R 정책'을 제안했다. 4R 정책은 △혁신기술 개발·투자 지원(R&D) △신재생에너지 활성화(Renewable Energy) △자원순환 확대(Resource Circulation) △인센티브 및 제도적 기반 마련(Rebuilding Incentive System)을 골자로 탄소중립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달라는 내용 등을 담았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이제 목표 설정을 넘어 본격 이행으로, 탄소중립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달성해야 한다”면서 “세계 시장질서 변화를 제조 강국의 위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 요인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표>산업·에너지 탄소중립 R&D 17대 중점분야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R&D 17대 중점분야 >>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