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업계, 비교·추천 서비스 규제 풀어달라 성토

고승범 금융위원장(사진)이 9일 서울 강남구 선릉로 디 캠프(D camp)에서 개최된 핀테크산업 혁신지원 간담회에서 핀테크 업계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과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간 제휴·협력 촉진 및 핀테크 산업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사진)이 9일 서울 강남구 선릉로 디 캠프(D camp)에서 개최된 핀테크산업 혁신지원 간담회에서 핀테크 업계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과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간 제휴·협력 촉진 및 핀테크 산업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

핀테크업계가 금융당국에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이후 위축된 맞춤형 비교·추천 서비스 재개를 위한 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종합지급결제사업자 도입을 위한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개정 신속한 실행도 요구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9일 서울 강남구 선릉로 디캠프에서 핀테크 업계 및 유관금융회사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금융당국의 규제개선을 요구하는 핀테크사 성토 장이 됐다.

한 핀테크사 대표는 간담회 이후 기자와 만나 “금소법 시행 이후 플랫폼사들이 제공하던 맞춤형 비교·추천 서비스가 대거 중단되거나 위축돼 이를 재개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업계 목소리가 나왔다”면서 “이외에도 종지업 도입을 위한 전금법 개정 신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의견도 나왔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9월 플랫폼 업체가 서비스하는 금융상품 추천이 판매 과정 중 하나인 '잠재고객 발굴 및 가입유도'에 해당해 광고가 아닌 중개 업무라고 통보했다. 따라서 카카오페이, 토스 등 빅테크·핀테크 업체가 기존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대폭 변경했다.

이에 고승범 위원장은 “온라인 금융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보호 원칙은 지켜나가되 맞춤형 비교·추천 등 혁신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규제 개선방안을 모색하겠다”면서 “금융 안정, 그리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바탕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당국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와 중소 핀테크에 대한 규제 분리도 검토된다.

고 위원장은 빅테크와 중소 핀테크 분리에 대한 지적에 대해 “일리가 있다”면서 “빅테크와 중소형 핀테크의 문제가 좀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망분리, 클라우드 규제 등 금융보안도 금융회사 자율과 이용자 보호가 조화될 수 있도록 개편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망분리가 핀테크에 과도하게 부담이 되는 측면이 있다”면서 “금융위 차원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는 금융회사와 핀테크 간 제휴 협력과 기존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 대한 지원 계획도 언급했다.

고 위원장은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와 제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행 '핀테크투자 가이드라인'을 개선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면서 “금융회사-핀테크 간 협업을 통한 새로운 금융서비스에 대해서는 규제샌드박스를 통한 부수업무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핀테크가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아이디어의 실현가능성을 검증하고, 기존 금융권도 신규 서비스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D-테스트베드 운영을 확대·개편할 것”이라면서 “샌드박스 및 부수업무 승인 등 절차와 적극 연계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