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론이야, 아이언맨이야”…'항공 휴머노이드' 용도는?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아이언컵 시뮬레이션 영상 캡처. 사진=이탈리아공과대학(IIT)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아이언컵 시뮬레이션 영상 캡처. 사진=이탈리아공과대학(IIT)

산업현장에 투입된 로봇이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등의 능력을 펼치기 위해서는 로봇의 '기동 능력'이 선행적으로 탑재돼야 한다. 제아무리 고성능 카메라, 센서 같은 최첨단 기기를 탑재하고 있더라도 그 현장에 도달할 수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 개 '스팟'과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 역시 능동적인 움직임을 강조하며 홍보하고 있다. 계단을 가뿐하게 넘는 로봇은 산업현장 곳곳을 시찰하며 안전 점검을 위해 활용된다.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아이언컵 제트엔진 테스트. 사진=이탈리아공과대학(IIT)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아이언컵 제트엔진 테스트. 사진=이탈리아공과대학(IIT)

8일(현지 시각) IT 전문매체 엔가젯에 따르면, 이탈리아 공과대학(IIT)은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한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아이언컵(iRonCub)'이 개발 막바지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예고편 스틸컷(위)과 아이언컵 시뮬레이션 비교.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이탈리아공과대학(IIT)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예고편 스틸컷(위)과 아이언컵 시뮬레이션 비교.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이탈리아공과대학(IIT)

이 로봇은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속 토니 스타크에 의해 탄생한 인공지능 울트론처럼 두 발로 걷다가 현장 투입 시에는 비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폭주해서 인류의 위협이 된 울트론과 달리 아이언컵은 인류를 지키기 위해 현장에 뛰어들 예정이다.

연구개발을 주도한 IIT 인공 및 기계지능 연구소의 다니엘 푸치 소장은 “아이언컵은 공중 조종과 휴머노이드 로보틱스를 통합한 '에어리얼 휴머노이드 로봇'이다”며 “무인항공기의 지상 운동 능력 결여라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휴머노이드 로봇에 비행 능력을 탑재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난현장 투입 시 아이언컵 비행 방법 시뮬레이션 영상 캡처. 사진=아이컵 휴머노이드로봇 유튜브
재난현장 투입 시 아이언컵 비행 방법 시뮬레이션 영상 캡처. 사진=아이컵 휴머노이드로봇 유튜브

기존 휴머노이드 로봇은 재난 상황에 처했을 때 일반적인 무인항공기(드론)에 비해 활용도가 높지만, 인간도 투입될 수 있는 지상에서만 이동할 수 있어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자연재해로 인해 계단이 부서지면 두 발로 걷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내부로 진입이 어려워진다.

반면 비행능력을 탑재한 아이언컵은 휴머노이드 로봇과 무인항공기의 장점만을 결합해 만들었기 때문에 응급 시 활용도가 더 높을 수 있다.

아이언컵은 4개의 제트엔진을 통해 비행한다. 제트엔진은 각각 뒤쪽 두 개와 양팔에 하나씩 달려있다. IIT가 공개한 시뮬레이션 영상 속 아이언컵은 다소 섬뜩한 외양이지만 상용화된다면 인명 구조를 진일보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푸치 소장은 “다음 과제는 비행 관제사와 함께 비행하는 것”이라며 “최종적으로 하늘을 비행하는 미니 '아이언맨'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기자 shw@etnews.com